[눈높이 사설] 부산 ‘사회붕괴’ 막기 위한 노력을

감민진 가야초 교사 2023. 9. 4. 19: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산시민은 이대로 가면 30년 뒤 '사회 붕괴'로 갈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을 하고 있다.

국회미래연구원이 지난 1~6월 부산시 부산연구원과 공동으로 '부산시민과 미래대화' 프로젝트를 진행한 결과다.

사전 기획 준비 후 10대 청소년을 포함 총 58명(여성 35명, 남성 23명)의 시민이 참가해 지난 3월 숙의토론을 거쳐 전문가 15명 등과 함께 부산의 중장기 미래 변화를 논의하고 필요한 과제를 도출해냈다.

부산시민의 걱정에 대응해 중장기적인 미래 부산 정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신문 8월 15일 자 19면 참고

부산시민은 이대로 가면 30년 뒤 ‘사회 붕괴’로 갈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을 하고 있다. 국회미래연구원이 지난 1~6월 부산시 부산연구원과 공동으로 ‘부산시민과 미래대화’ 프로젝트를 진행한 결과다. 사전 기획 준비 후 10대 청소년을 포함 총 58명(여성 35명, 남성 23명)의 시민이 참가해 지난 3월 숙의토론을 거쳐 전문가 15명 등과 함께 부산의 중장기 미래 변화를 논의하고 필요한 과제를 도출해냈다.

참가자들은 ‘이대로 가면 맞이할 부산의 미래’ 질문에 사회 붕괴(62%)라고 답했다. 이는 사전 조사에서 붕괴 미래를 예측한 응답(43.8%)보다 증가한 수치다. 그 뒤를 이어 보존사회(29%) 변형사회(9%)가 등장할 것이라고 답했다. 부산 미래가 성장을 멈추거나 인류가 경험한 적이 없는 새로운 미래로 나아갈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시민은 미래를 어둡게 보는 근거로 인구 감소와 저출산, 특히 청년층의 부산 이탈을 꼽았다. 일자리 감소와 산업 쇠퇴, 고령화도 주요 원인이다. 부산 인구는 2020년 9월 340만 명 선이 붕괴된 데 이어, 올해 말 330만 명 아래로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 감소 속도가 더 가파르다. 2022년 말 기준으로 부산 인구(353만8484명)가 10년 전보다 6.2% 줄어드는 동안 생산연령인구(226만4811명)는 14.6% 급감했다. 젊은 층이 일자리를 찾아 부산을 떠나면서 성장이 어려운 도시로 전락하고 있어 시민 우려가 당연한 셈이다.

부산시는 청년층이 지역을 이탈하는 가장 큰 이유가 양질의 일자리 부족인 만큼 성장성 높은 기업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또 고령화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돌봄 정책을 실천해야 하겠다. 원자력 발전소가 많아 핵발전소 사고, 원도심 노후 주택 증가, 도심의 녹지 공간 부족 등을 우려하는 시민이 많은 점도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이번 조사에서 시민이 미래세대까지 고려해 선호하는 미래가 ‘보존사회(46.5%)’라는 점은 의미 있다. 이는 지속 가능한 삶과 정신적 성숙을 원하는 사회다. 시와 부산연구원은 이번 조사를 참고해 ‘부산2050비전 계획’을 수립한다고 한다. 부산시민의 걱정에 대응해 중장기적인 미래 부산 정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 어린이 사설 쓰기

지구의 맨 서쪽 끝에 코카서스라는 산이 있는데, 얼마나 높은지 산봉우리는 항상 구름에 덮여 있었습니다. 그래서 누구도 감히 오르겠다는 엄두를 내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독수리 한 마리가 기필코 산 정상에 오르겠다는 결심을 하고 도전했습니다. 독수리는 그날부터 산 정상에 도전했지만, 매번 실패했습니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끈질기게 도전해 마침내 산 정상에 올랐습니다.

산의 맨 꼭대기 정상에는 신기하게도 한 그루 고목이 서 있었습니다. 정복감에 가슴이 뿌듯해진 독수리는 날개를 활짝 펴고 나뭇가지에 앉아 승리감에 도취되어 있었습니다. 이때 고목의 가지에 있던 거미 한 마리가 독수리를 보고 낄낄 웃었습니다.

이 높고 어려운 곳을 미약한 거미가 어떻게 올라왔는지 궁금해진 독수리가 물었습니다. “거미야, 너는 어떻게 이곳에 올라왔니?”

그 말에 거미는 교활한 목소리로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너는 죽을 고생을 하며 올라왔으나 나는 네 날개 아래 붙어서 힘 안 들이고 편안히 올라왔지.” 독수리는 어처구니가 없었습니다. 바로 그때 강한 바람이 세차게 불어 거미를 땅 아래로 내동댕이쳐 버렸습니다.

이 이야기처럼 노력하지 않고 얻어지는 것은 진정으로 값진 것이 아닙니다. 쉽게 얻은 것은 쉽게 날아가 버리기도 합니다. 앞으로 부산이라는 도시가 붕괴되지 않기 위해서는 피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부산을 위협하는 문제를 찾아보고,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자기 생각을 써 봅시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