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탐사 경쟁, 60년 만의 귀환 [유레카]

박병수 2023. 9. 4. 15: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으로 달을 관측한 최초의 사람이다.

그는 당시 관측 내용을 책으로 냈는데, 여기에는 곰보딱지같이 울퉁불퉁한 달 표면을 그린 스케치도 담겨 있다.

그렇게 갈릴레오의 달은 중세의 낡은 세계관에 균열을 냈다.

그렇게 인류의 지적 자극에 촉매제 구실을 했던 달이 거의 60년 만에 다시 강대국 간 열띤 경쟁의 대상이 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레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으로 달을 관측한 최초의 사람이다. 그는 당시 관측 내용을 책으로 냈는데, 여기에는 곰보딱지같이 울퉁불퉁한 달 표면을 그린 스케치도 담겨 있다. 오늘날 눈으로는 “대충 비슷하게 그렸네” 하고 대수롭지 않게 넘길지 모르지만, 당시엔 큰 충격이었다.

중세 유럽을 지배하던 아리스토텔레스 천문학에 따르면, 천상의 세계에 속하는 달은 어떤 흠도 없는 완벽한 구형이어야 했다. 그런데 실제 달의 모습이 불완전하고 흠집투성이인 지상의 세계와 다르지 않다니, 이 사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그렇게 갈릴레오의 달은 중세의 낡은 세계관에 균열을 냈다.

아이작 뉴턴이 사과나무 아래에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만유인력의 영감을 얻었다고 알려졌지만, 정확하게는 “사과는 땅에 떨어지는데, 달은 왜 떨어지지 않는가”를 궁금해했다고 한다. ‘달은 천상의 세계에 속하기 때문’이라는 고루한 설명을 거부한 갈릴레오주의자였던 뉴턴은, 이 의문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미적분을 만들어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내놓았다.

그렇게 인류의 지적 자극에 촉매제 구실을 했던 달이 거의 60년 만에 다시 강대국 간 열띤 경쟁의 대상이 됐다. 마치 1960, 70년대 냉전 시기 치열했던 미국과 옛 소련의 달 탐사 경쟁을 다시 보는 듯한 분위기다.

그때와 달라진 점은 있다. 우선 경쟁 참가국이 다양해졌다. 중국, 인도, 일본, 이스라엘 등이 뛰어들면서 미국과 옛 소련의 독점체제는 무너졌다. 또 미국의 주요 경쟁 상대국으로 옛 소련(또는 러시아)의 자리를 중국이 대신하는 모양새가 또렷하다. 중국은 2018년 12월 처음으로 달 뒤쪽에 착륙하고 2년 뒤엔 달 착륙선이 달 토양 등을 채취하고 귀환하는 등 눈부신 활약을 보여주고 있지만, 러시아는 지난달 47년 만에 달 탐사선을 보내 착륙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냉전 시기 경쟁이 체제경쟁의 연장선이었다면, 이번엔 달 기지 건설 가능성을 탐색하는 등 실용적인 차원의 경쟁 양상인 것도 달라진 점이다. 그래서 최근 탐사는 두꺼운 얼음층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남극이 주요 대상이 되고 있다. 물은 기지가 건설되면 상주할 요원의 식수원이 될 수 있고, 산소와 수소로 분리해 로켓 연료로도 쓸 수 있기 때문이다. 달 기지는 화성 등 다른 행성 진출의 전초기지 구실을 할 것으로도 기대된다. 달에서는 인력이 지구의 6분의 1이어서, 훨씬 적은 비용과 자원으로 우주 로켓을 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