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만든 달 우주환경 모니터, 2024년 미국에서 발사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가 만든 과학 탑재체가 미국으로 이송을 시작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와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영득)은 4일 미국의 무인 달착륙선을 통해 2024년 달로 발사, 과학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달 우주환경 모니터(LUSEM)' 탑재체의 개발이 완료돼 미국으로 이송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우리나라가 만든 과학 탑재체가 미국으로 이송을 시작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와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영득)은 4일 미국의 무인 달착륙선을 통해 2024년 달로 발사, 과학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달 우주환경 모니터(LUSEM)’ 탑재체의 개발이 완료돼 미국으로 이송을 시작했다고 발표했다.
LUSEM(LUnar Space Environment Monitor)은 천문연이 국제 달 탐사 공동연구 추진을 위해 미국 항공우주청(NASA)의 CLPS(Commercial Lunar Payload Services, 민간 달 탑재체 수송 서비스) 계획에 참여해 개발한 탑재체이다.
CLPS 계획은 미국의 유인 달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하위 계획이다. NASA 주관으로 달의 과학적 탐사, 상업적 개발 등과 관련된 탑재체를 실은 무인 달착륙선을 매년 발사하는 계획이다.
NASA는 사업 기획·관리를 담당하고 입찰을 통해 선정된 민간 기업이 무인 달착륙선을 개발·발사·착륙·운영한다. 천문연은 착륙선에 탑재할 과학 탑재체 중 4종을 개발해 달 탐사 과학 임무를 공동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LUSEM은 50킬로전자볼트(50keV) 이상의 고에너지 입자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이다. 천문연 주관으로 경희대 우주과학과 선종호 교수 연구팀과 함께 개발한 과학 탑재체이며 국내업체인 쎄트렉아이가 제작을 담당했다.
지구 표면과 달리 대기권과 지구 자기장 등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달 표면에서는 심우주로부터 날아오는 고에너지 입자가 직접 검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에너지 입자는 우주인의 건강이나 우주선의 전자부 기능과 구조·강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기가 없는 천체에서의 우주 풍화 작용 등 과학적 연구에도 중요하게 활용되기 때문에 앞으로 유인 심우주 탐사, 우주과학 연구를 위해 고에너지 입자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천문연은 NASA 주관 하에 LUSEM을 2024년 초까지 착륙선인 ‘노바-C(Nova-C)’에 장착한 뒤, 2024년 말 SpaceX의 팰컨9(Falcon9)를 통해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착륙선과의 인터페이스 시험, 기능시험 등의 발사 준비 작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박영득 한국천문연구원장은 “LUSEM은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과학 탑재체 중 하나”라며 “우주탐사 시대에 필요한 우주환경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전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빗썸, 수수료 무료 이벤트 적중…점유율 늘고 흑자전환
- 업비트, 점유율 줄고 수수료수입도 감소
- LG이노텍, 車 전방용 조명모듈 '넥슬라이드 A+'로 CES 혁신상 수상
- 개인정보위, 개인정보법 개정 추진..."딥페이크 위협 대응"
- 현대차, 첫 외국인 CEO 선임...장재훈 사장은 부회장 승진
- SPC삼립, 3분기 영업익 218억…전년比 3.8%↑
- 이재명 "주식시장 불투명…기업지배구조 개선해야"
- 서울시 '정수용 활성탄'이 중국산?…서울시의회 "대체재 등 마련해야"
- 민주당 율사 출신 의원들, "이재명 무죄" 전방위 변호
- 네이버 밴드, 美 월 이용자 600만명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