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메모리 앞에 한없이 작아지는 K반도체
산업연구원 “존재감 미미, 시스템 반도체 육성 국가 전략 수립을”
지난해 세계 ‘비메모리 반도체 설계(팹리스)’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3.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 참여하는 주요국 중 최하위 수준이다. ‘반도체 강국’이라지만 사실 메모리에 편중돼 있어 더 큰 시장인 비메모리 분야를 적극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산업연구원은 3일 발표한 ‘세계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 지형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에서 글로벌 비메모리 반도체 매출 규모는 4564억달러(약 603조원)로, 국내 팹리스들이 생산한 비메모리 반도체는 151억달러(20조원, 점유율 3.3%) 수준이라고 밝혔다. 미국(54.5%), 유럽(11.8%), 대만(10.3%), 일본(9.2%), 중국(6.5%) 등 글로벌 반도체 가치사슬 참여 주요국 중 한국은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지난해 국내 비메모리 반도체 매출 총액 대부분은 삼성전자 몫이다. 삼성전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와 카메라의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센서, TV 디스플레이 패널 작동에 쓰이는 디스플레이구동칩(DDIC) 등을 설계·생산한다.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자체 설계한 칩으로 지난해 112억달러(15조원)를 벌어들였다. 뒤이어 LG전자 TV의 DDIC 등을 설계하는 LX세미콘(17억달러·2조2000억원), 이미지센서 등을 생산하는 SK하이닉스(8억9000만달러·1조2000억원)가 뒤를 이었다.
그동안 국내 업체들은 메모리 시장에서는 강자로 군림해왔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지난해 메모리 매출 총합은 100조원을 넘어섰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메모리 점유율은 D램이 70%, 낸드플래시가 50%에 달한다.
산업연구원은 “세계 비메모리 시장 내 한국의 존재감은 미미하다”며 “(한국 기업들의) 비메모리 매출원은 스마트폰 및 TV 등 대기업의 안정적 판로 확보로 국내 수요가 활성화된 소자들에 집중돼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미국은 컴퓨터 중앙처리장치(CPU)를 비롯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유무선 통신 및 그래픽처리장치(GPU), 프로그래머블 반도체(FPGA) 등 비메모리 시장 전반에 걸쳐 압도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유럽과 일본은 자동차 및 산업용 로봇 등의 작동에 필요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과 광학·비광학 센서류에 강점을 보인다. 대만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들어가는 칩 설계를 잘한다. 중국 역시 폭넓은 제조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비메모리 소자 전반에 걸쳐 설계 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은 미·중 패권경쟁으로 촉발된 ‘반도체 전쟁’ 시대에 정부와 기업이 비메모리 산업 발전을 목표로 자원 투입을 확대하는 상황에서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 대한 국가적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재덕 기자 du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프고 계속 커지는 켈로이드 흉터··· 구멍내고 얼리면 더 빨리 치료된다
- “남잔데 숙대 지원했다”···교수님이 재워주는 ‘숙면여대’ 대박 비결은
- [스경X이슈] 반성문 소용無, ‘3아웃’ 박상민도 집유인데 김호중은 실형··· ‘괘씸죄’ 통했다
- ‘해를 품은 달’ 배우 송재림 숨진 채 발견
- 윤 대통령 골프 라운딩 논란…“트럼프 외교 준비” 대 “그 시간에 공부를”
- ‘검찰개혁 선봉’ 박은정, 혁신당 탄핵추진위 사임···왜?
- 한동훈 대표와 가족 명의로 수백건…윤 대통령 부부 비판 글의 정체는?
- “그는 사실상 대통령이 아니다” 1인 시국선언한 장학사…교육청은 “법률 위반 검토”
- 3200억대 가상자산 투자리딩 사기조직 체포… 역대 최대 규모
- 머스크가 이끌 ‘정부효율부’는 무엇…정부 부처 아닌 자문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