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서 아파 보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받고 예상치 못했던 몸의 적신호와 마주한 것을 계기로 지방에서 병원에 다니는 일의 어려움을 절감하고 있다.
양양에서 강릉으로 다니는 것도 번거로운데, 더 불편할 게 뻔한 서울 병원을 알아보는 게 왜 당연하다고 생각하는지 의문을 품지 않았다.
왜 그랬을까? 무의식적으로 지방의 병원은, 지방의 의사는 서울보다 못할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말고]
[서울 말고] 김희주 | 양양군도시재생지원센터 사무국장
‘늙고 병들 텐데 서울 아닌 곳에서 잘 지낼 수 있을까?’
최근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받고 예상치 못했던 몸의 적신호와 마주한 것을 계기로 지방에서 병원에 다니는 일의 어려움을 절감하고 있다. 어려서부터 골골거리는 잔병치레에 지병도 있었고 사무직 노동자답게 각종 근골격근계 증후군과 함께 40년을 살아왔다. 그래서 적당히 나쁘고 적당히 관리해야 하는 몸을 다시 한번 확인할 줄 알았다. 하지만 조금 더 심각했다. 몇 군데 장기에서 추적 관찰이 필요한 증상을 발견했다.
연고도 없는 강원도 양양이란 곳으로 이주했기에 사전 정보가 거의 없었다. 걱정도 두려움도 지방에서 살면서 더 선명하게 맞닥뜨렸다. 가장 불편한 건 병원이었다. 인구가 3만이 채 안 되는 양양은 병원이 많지 않다. 건강 고위험군 주민이 많은데 의료인프라는 취약하다. 이비인후과, 피부과, 산부인과, 안과, 소아과 등은 아예 없어서 속초나 강릉으로 가야 하는데, 대중교통은 불편한 데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운전은 부담스러웠다. 지금까지는 적당한 불편을 감수하며 지내왔는데, 전문 검사와 처치가 필요한 질병을 맞닥뜨린 뒤로 고민이 커졌다.
병가를 내고 전문의가 있는 강릉의 병원에 갔고, 더 큰 병원으로 가라는 안내에 따라 상급종합병원으로 가야 했다. 그 여정 속에서 머릿속에 계속 떠오른 생각은 ‘지금이라도 서울의 병원에 가야 할까?’였다. 양양에서 강릉으로 다니는 것도 번거로운데, 더 불편할 게 뻔한 서울 병원을 알아보는 게 왜 당연하다고 생각하는지 의문을 품지 않았다. 그러다 문득 깨달았다. ‘지방 병원이 서울에 비해 부족하다는 걸 전제하고 있구나. 그런데 서울에서 수많은 병원에 다닐 때 나는 그 병원과 의사의 실력에 의구심을 가진 적이 있었나?’
서울에서는 회사나 집 근처 아무 병원이나 갔다. 역에서 가깝거나 늦게까지 진료하거나 하다못해 이름이 마음에 들어서 갔다. 병원을 찾으면서 의사의 출신 학교나 경력을 확인하거나 평판이나 후기를 검색해 본 적도 없다. 의사라는 전문가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지역커뮤니티 카페에서 강릉과 속초의 여러 병원과 의사들을 열심히 검색했다. 왜 그랬을까? 무의식적으로 지방의 병원은, 지방의 의사는 서울보다 못할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불안했기에 조금이라도 더 정보가 필요했다. 그리고 이 근거가 불충분한 불신이 지방에서 살아가는 어려움의 결과이기만 한 게 아니라 원인이기도 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지방 의료체계가 흔들리고 필수의료 인력이 부족하다는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속초의료원은 전문의 이탈로 응급실 운영을 단축했고, 파격 조건에도 지원자가 거의 없었다. 강릉아산병원은 심장내과 전문의 4명이 수도권 병원으로 이직하면서 한꺼번에 퇴사했다. 이러한 이탈에는 부족한 보상이나 시설 문제 등이 있겠지만 나 같은 환자의 소극적인 불신도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 게 아닐까? 공공의료의 위기는 민간의료 의존도를 높이는데, 민간은 인구 규모와 시장성에 더 민감하기에 전체 의료인프라의 붕괴로 이어진다. 그리고 이는 지방소멸의 원인이자 결과로 상호작용하는 악순환 관계에 있다. 그로 인한 암울한 미래 역시 지방에서 늙어갈 내게 고스란히 돌아온다는 걸 생각하면, 옴짝달싹할 수 없는 덫에 걸린 기분이 든다.
지역커뮤니티 카페에서 서울 병원에 가야 할까 고민하는 이들의 게시글과 동조하는 댓글을 무수히 만났다. 서울로 간 이들도 강릉의 병원으로 향하는 나도 각자의 최선을 선택했다. 하지만 나는 여전히 지난 몇주간 이어진 걱정에서 자유롭지 않고, 여전히 마음 한편에 불안감을 안고 병원 문을 열 것이다. 불신도 불안도 아직은 버리지 못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공교육 멈춤의 날…엄포만 놓는 정부에 다시 뭉치는 교사들
- 문 전 대통령 “대통령실이 나서 홍범도 흉상 철거 철회해야”
- “내일 내 아이만 등교하면 어쩌지”…학부모들 ‘눈치 게임’
- ‘이념 전쟁 vs 방탄 국회’ 중도는 둘 다 싫다…무당층 역대 최고
- [단독] 반올림피자 “45살 이상·여성에겐 가맹점 못 줘”…황당 차별
- ‘이념전사 윤석열’은 어떻게 탄생했나 [아침햇발]
- 이재명 “오염수→처리수 창씨개명”…런던협약 당사국에 친서
- 김문수·전광훈의 홍범도 비난 논리, 윤 정부가 이어받았다
- [현장] 지속가능성 앞세운 LG·삼성…‘물량전’ 중국 가전과 대비
- 호날두·드록바 넘은 손흥민, 네번째 해트트릭…‘손톱’이 옳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