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위 車 5대 중 1대가 현대차·기아…'인도 맞춤 모델' 통했다

배성수 2023. 9. 3. 18: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도 진출 성공 기업
점유율 2위 굳힌 현대차·기아
찻길도 없던 27년 전 단독진출
좁고 험한 도로 특성 맞춰 제작
누적 판매량만 800만대 넘어
이젠 전기차로 '제2 도약' 준비
연산 100만대로 현지 1위 노려
현대자동차가 인도에서 생산해 현지에서 판매한 차량이 누적 800만 대를 돌파했다. 지난달 17일 방문한 인도 남동부 타밀나두주에 있는 현대차 첸나이 2공장에서 현지 직원들이 차량을 조립하고 있다. /배성수 기자


지난달 17일 인도 남동부 타밀나두주 첸나이. 인도 최대 차량호출 기업 ‘올라’로 현대자동차의 현지 전략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크레타를 부르니 10분 만에 도착했다. 한 시간가량 달린 고속도로에서 만난 차량 4~5대 중 한 대는 현대차·기아 차종이었다. 현지 회사 현대모터플라자의 한 딜러는 “‘인도의 디트로이트’라고 불리는 첸나이에서도 현대차그룹의 입지는 독보적”이라고 말했다.

 ◆‘자동차 불모지’ 인도 미래 본 현대차

이날 찾은 현대차 첸나이 2공장에선 또 다른 현지 전략 소형 SUV 엑스터 생산이 한창이었다. 엑스터는 지난 7월 출시 첫 달에만 7000대가 팔렸고, 사전계약도 5만 대를 넘기며 흥행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이 공장에선 아우라, 니오스까지 총 4개 차종이 ‘혼류 생산’되고 있었다. 크레타를 생산하는 1공장과 2공장을 합쳐 450여 대의 ‘결합 로봇’이 쉬지 않고 뼈대에 차체를 연결했다. 이 공장의 시간당 생산량은 국내 공장보다 두 배 이상 많다.

현대차가 인도에서 성공을 거둔 것은 27년 전 첸나이에 진출한 것이 주효했다. 현대차는 1996년 현대모터스인디아(HMI)를 설립하고, 1998년 생산공장을 지었다. 당시 인도 진출을 두고 외부에선 회의적인 시선이 많았다. 인도는 제대로 된 도로조차 없어 ‘자동차 불모지’란 인식이 컸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그러나 인구 대국인 인도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봤다. 합작투자가 아니라 단독 진출이란 과감한 결단을 내렸다. 대규모 투자와 함께 현지 부품 조달 등을 앞세워 인도 정부를 설득했고, 그 결과 외국 자동차 업체 최초로 인도 시장 단독 진출에 성공했다.

판단은 맞아떨어졌다. 인도는 지난해 일본을 제치고 중국과 미국에 이어 세계 3위 자동차 시장으로 성장했다. 이 사이 첸나이 공장은 현대차의 해외 최대 생산기지로 성장했다. 현대차가 지금까지 인도에서 생산한 차량은 누적 1150만 대, 현지 판매한 차량은 800만 대가 넘는다. 인도 가구당 승용차 보급률이 아직도 채 10%가 안 되는 만큼 향후 성장성도 무궁무진하다.

◆철저한 현지화·고급 브랜드 안착

현대차는 올 7월 기준 인도 시장에서 14.3%의 점유율로 일본 마루티스즈키에 이어 2위를 지키고 있다. 2019년 인도에 진출한 기아까지 더하면 점유율이 20%에 달한다. 김언수 현대차 인도아중동대권역장(부사장)은 “현대차는 지난해 인도에서 인지도 1위, 선호도 1위를 석권했다”고 말했다.

성공의 또 다른 비결은 ‘철저한 현지화’다. 현대차가 인도 진출 초기에 선보인 ‘i10’과 ‘상트로’가 대표적이다. 한국보다 길이 좁고 험한 현지 사정에 맞춰 저렴하면서도 오래 탈 수 있는 맞춤형 소형 차종을 출시한 것이다. 이들 차량은 인도 시장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바통은 크레타가 이어받았다. 이번엔 ‘고급화’로 승부를 걸었다. 크레타에 LED(발광다이오드) 램프, 동급 최초 자동변속기 등으로 고급 이미지를 더했다. 크레타는 2016년 ‘인도 올해의 자동차’로 선정된 데 이어 다른 신흥국에까지 수출하는 효자 모델로 자리매김했다.

 ◆전기차로 ‘제2의 전성기’ 잇는다

현대차는 전기차로 인도 시장에서 ‘제2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 8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2020년 회장 취임 후 처음으로 인도를 찾아 생산·판매 전략을 점검한 것도 이 때문이다.

현대차는 최근 인수한 제너럴모터스(GM)의 탈레가온 공장을 지렛대로 삼을 계획이다. 내연기관 차량을 생산하는 탈레가온에 기존 첸나이 물량을 넘기고, 그 자리에 전기차 생산라인을 새롭게 구축할 방침이다. 10년간 인도에 2000억루피(약 3조2000억원)를 투자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2025년부터 가동되는 탈레가온 공장(연산 13만 대) 물량을 더하면 총 생산능력은 연간 100만 대에 달한다. 김 부사장은 “인도 시장에서 점유율 20%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아도 인도 공장 증설을 추진한다. 연간 37만3000대 수준인 아난타푸르 공장의 생산능력을 확 끌어올려 급증하는 현지 점유율을 10%까지 높이겠다는 목표다. 현대차(20%)와 기아(10%)가 각각 목표를 달성하면 합산 점유율은 30%에 이른다. 업계는 현대차그룹의 인도 1위 도약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첸나이=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