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15개월 만에 상승 전환… 대치2단지 2500만원 ↑
3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8월 마지막 주(8월31일 기준) 서울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8주간의 보합세(0.00%)를 떨치고 0.01%를 기록했다. 재건축과 일반 아파트는 0.01%씩 상승한 반면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각각 0.01% 하락했다.
서울은 똘똘한 지역을 중심으로 수요가 꾸준히 유입되는 가운데 강남과 송파에서 전주 대비 오름폭이 0.01%포인트(p)씩 확대됐다. 지역별로는 강남(0.03%) 도봉·송파(0.02%) 광진·마포(0.01%) 순이다. 강남은 개포동 디에이치아너힐즈, 대치2단지 등이 1000만~2500만원 올랐고 송파는 잠실동 우성1~3차와 방이동 한양3차 등 재건축 단지가 1500만~2000만원 상향 조정됐다.
서대문·양천·중랑(-0.01%)은 하락했다. 서대문은 홍제동 유원하나가 500만~1125만원, 양천은 신정동 목동우성2차와 목동파크자이 등이 500만~1000만원 내렸다.
신도시는 구축이 많은 1기 위주로 가격이 빠졌다. 일산(-0.05%) 평촌(-0.02%) 분당(-0.01%)이 하락했고 나머지 신도시들은 보합(0.00%)을 유지했다. 일산은 주엽동 강선14단지두산, 마두동 백마3단지한양 등이 500만~1000만원 빠졌다. 평촌은 호계동 무궁화경남, 무궁화한양 등이 500만원 정도 떨어졌다.
경기·인천은 성남(-0.09%) 고양·오산(-0.04%) 부천·의정부(-0.02%) 순으로 하향 조정됐다. 성남은 신흥동 청구·두산·한신이, 고양은 탄현동 탄현11단지동신과 중산동 햇빛18-2단지주공 등이 1000만원가량 내렸고 오산 부산동 주공1단지도 유사한 하락률을 보였다. 인천·안산(0.01%)은 올랐다. 인천은 서구 불로동 월드, 연수구 송도동 송도더샵그린애비뉴8단지 등 신도시나 주변 생활권 단지가 250~2000만원 상승하며 2주 연속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전세시장은 서울이 0.02% 오르면서 4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경기·인천은 보합(0.00%), 신도시는 0.01% 하락했다.
서울은 플러스 변동률을 기록한 12개 지역 중 절반이 넘는 7곳이 2주째 상승장에 머물렀다. 강남·구로(0.06%) 광진(0.04%) 도봉(0.03%) 마포·송파(0.02%) 등이다. 강남은 일원동 수서1단지, 개포동 주공고층7단지 등이 625만~3000만원 상승했다. 구로는 개봉동 삼환, 신도림동 신도림대림2차가 500만~1000만원 올랐다. 광진은 구의동 현대프라임이 500만원, 도봉은 방학동 우성1차의 전세가가 1000만원 정도 높아졌다.
신도시는 일산(-0.09%) 한 곳만 하락세를 보였고 나머지 지역은 보합(0.00%)이었다. 일산은 주엽동 강선15단지보성, 대화동 성저1단지동익 등이 500만~1500만원 내렸다.
경기·인천은 고양(-0.05%) 의정부(-0.04%) 부천(-0.03%) 의왕(-0.02%) 순으로 떨어진 반면 인천(0.06%) 구리(0.04%) 이천·남양주(0.01%) 등은 올랐다. 고양은 성사동 신원당6단지태영, 중산동 중산코오롱2단지 등이 1000만원 빠졌다. 정부는 용현동 신도브래뉴가 500만~1000만원 하락했다. 인천은 남동구 만수동 벽산, 서창동 서창센트럴푸르지오와 부평구 산곡동 금호이수마운트밸리 등 대단지가 1000만원가량 상승했다.
저가 매물 소진에 휴가철 비수기 영향으로 매수세가 다소 주춤해지면서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건수는 직전월(1만5888건) 대비 소폭 감소한 1만5257건으로 집계됐다. 분양가 인상과 재건축·개발 호재 등으로 가격 상승 기대감이 확산되면서 매도 호가는 여전히 높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서울의 신축 아파트 거래 비중이 감소하는 분위기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 분석 결과 입주 5년 이내 아파트의 매매거래 비중은 지난 1분기 21%(6847건 중 1451건)에서 3분기 들어 14%(5562건 중 757건)로 낮아졌다. 선호도가 높은 신축 아파트값이 크게 오르면서 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구축 매매를 선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연초 대비 가격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대출 문턱도 높아지는 분위기"라며 "특례보금자리론 등 대출금리 인상과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산정 방식 변경에 따른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의 한도 축소 등 가계부채 억제 방안 추진의 일환으로 주택 구입에 보다 많은 현금 보유력이 요구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소득이나 자산이 낮은 수요층의 매수심리 위축에 영향을 미쳐 거래량 증가는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정영희 기자 chulsoofriend@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소비자들 저항 거센데… "인건비에 닭값 뛰고 치킨집 못 해 먹겠네" - 머니S
- 보험사들, 상반기 '9.1조' 사상최대 순익… 4대금융만큼 벌었다 - 머니S
- 전효성 해명 나선 이유… "전 플렉시테리언입니다" - 머니S
- '진화♥' 함소원 베트남 근황 보니?… "한국보다 편안" - 머니S
- "평균매출 278만원, 3.7건 가입 "… 디딤돌 저축보험, 일주일 성적표 - 머니S
- 결국 법정으로?… 영화 '치악산', 정면돌파 통할까 - 머니S
- 블랙핑크 지수, 온통 까맣게 입어도 미모는 자체 발광 - 머니S
- 정수정, 매니시한 핀스트라이프 슈트룩…멋쁨 넘치는 크리스탈 - 머니S
- "품절남 된다"… 김동욱 결혼, 비연예인과 웨딩마치 - 머니S
- 비보이팀 '진조크루' 성추문… "성폭력 가해자 퇴출" -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