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면적 태우고, 오존층엔 큰 구멍…6개월째 활활 '최악 산불'[뉴스속오늘]

구경민 기자 2023. 9. 2. 11: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편집자주] 뉴스를 통해 우리를 웃기고 울렸던 어제의 오늘을 다시 만나봅니다.

호주 산불은 2019년 9월 2일 호주 남동부 지방에서 발생해 2020년 2월 13일 진화됐다./사진=뉴시스
약 6500만년 전 멕시코 유카탄반도에 떨어진 지름 10km의 초대형 소행성은 당시 지구의 지배종이었던 공룡을 멸종시켰다. 엄청난 화재와 지각 변동에 따른 화산 폭발, 먼지 등을 발생시켜 '지구 온난화'를 촉진했기 때문이다.
최근엔 소행성 충돌 대신 인류가 그 역할을 대신해 각종 활동으로 지구 온난화를 촉진하고 있는 가운데 2019~2020년 호주에서 장기간 발생했던 대형 산불이 오존층에 큰 구멍을 뚫는 등 지구 온난화에 커다란 악영향을 끼쳤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 '지구 재앙'으로 불리는 호주 산불. 2019년에 어떤 일이 벌어진걸까.
한반도 면적 태우고 코알라 멸종위기
2019년 9월2일. 호주 남동부 지방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 불은 호주 전역으로 번지면서 6개월째 호주를 불태우고 2020년 2월13일에서야 진화됐다.

호주 산불과 들불로 생긴 연기와 재가 바람을 타고 날라와 연무를 형성해 뉴질랜드 오클랜드의 하늘을 황색으로 뒤덮어버리기도 했다.

심지어 불똥이 바다를 건너 날아가 남부에 위치한 호주에서 세 번째로 큰 섬인 캥거루 섬에도 화재를 일으켜 섬의 절반을 태워 버렸다. 이곳에는 세계 최초의 꿀벌보호구역을 포함해 21개의 자연보호구역과 국립공원이 있고 진기한 동식물들이 많이 서식하는 곳인지라 피해가 더없이 컸다. 아직 발견되지 못한 섬 고유의 종들이 소리 소문없이 멸종했을 것이란 추측도 나왔다.

그리고 연무는 더 멀리 남아메리카로 날아가 칠레와 페루, 아르헨티나까지 다다랐으며 칠레 수도 산티아고도 하늘이 뿌옇게 변해버렸다.

화재로 인해 캔버라 국제공항 운영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으며 미국에서 파견된 C-130 소방 항공기가 추락해 미국 항공소방대원 3명이 숨지는 사고도 일어났다.

(캥거루 아일랜드 AFP=뉴스1) 정윤미 기자 = 호주 캥거루 아일랜드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야생 동물들의 생태계가 큰 피해를 입었다. (C) AFP=뉴스1

이 산불로 한반도 크기의 면적이 소실됐고 34명의 호주 시민이 사망했다. 1130만명의 시민은 매연 피해를 입었다. 또 2500여 채의 주택이 연소됐고 10억 마리 이상의 야생 동물이 불에 타 죽은 것으로 추산됐다.

호주의 상징인 '코알라'는 이 산불로 6만 마리 이상이 죽거나 다친 것으로 추정됐다. 이미 개체가 감소하고 있던 취약종인 코알라는 이번 산불로 서식지의 80% 이상이 파괴되는 등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호주 정부는 2020년 코알라를 멸종위기종으로 공식 분류했다.

환경단체인 휴메인 소사이어티 인터내셔널(HSI)은 "조치를 하지 않으면 2050년쯤 호주 동부 연안에서 코알라가 멸종할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때문에 호주 산불은 '역사상 최악'의 산불로 꼽힌다.

하지만 최악의 산불 위기 상황에서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화재가 한창 진행 중이던 2019년 12월 말 가족과 함께 하와이로 휴가를 떠났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기도 했다.
호수 산불 원인은 기후변화·가뭄...다시 기후변화에 기여
(캥거루 섬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최악의 산불이 발생한 호주의 캥거루 섬에서 불에 타 숨진 코알라의 모습이 보인다. (C) AFP=뉴스1
전문가들은 호주 산불이 초대형 산불로 번진 첫번째 원인으로 기후 변화, 기록적인 고온과 가뭄을 제시했다. 호주 기상청에 따르면 산불 원인은 2019년 전세계적으로 1961년에서 1990년까지 기후변화로 인해 연평균기온과 비교해 0.8도가 높았고, 호주의 강수량이 연평균 대비해 11.7%에 불과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 2019년 당시 호주 산불이 쉽게 잡히지 않은 이유는 호주 자체가 인구 거주 지역 중 가장 건조한 지역 중 하나인 데다 시속 30~40㎞의 강풍의 직격탄을 받고, 40도에 달하는 폭염까지 이어져서다.

2019∼2020년 호주에서 발생한 재앙급 산불의 악영향은 수년 뒤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 산불은 태평양 열대 바다의 수온을 끌어내려 이상기후를 유발하는 라니냐가 3년 연속 이어지게 만든 원인이 됐다.

호주 산불은 다시 지구 온난화에 기여한다. 연소로 인해 대량의 CO2가 발생했고 광합성을 하는 숲의 면적이 줄어들어 장기적으로 CO2 흡수량과 산소 발생량이 감소하게 된다. 현지 신문 시드니 모닝 해럴드에 따르면 호주 산불 재해로 발생한 CO2는 호주 전체 CO2 배출량의 3분의 2 정도였다고 하니 그 양이 엄청나다.

2019년 9월부터 2020년 3월까지 7개월동안 호주 남동부 산림을 잿더미로 만든 산불의 연기로 인해 당시 오존층이 최대 5%가량 파괴됐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이 산불로 오존층이 파괴됐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졌지만 파괴된 수치가 나온 것은 처음이었다. 지난 3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과 콜로라도주립대 등으로 구성된 국제연구진은 2019~2020년 호주에서 발생한 산불 연기로 인해 2020년에 오존층을 일시적으로 3~5% 고갈됐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Nature)' 학술지에 게재했다.

산불로 인해 호주 경제도 막대한 손실을 봤다. 대부분 나라들이 호주에 대해 여행자제 경보를 내려 관광수입이 반토막나서 관광업의 비중이 큰 호주 경제에 큰 손실이 발생했다. 호주보험협회(ICA)는 산불로 인한 보험손실을 2020년 2월 13일 기준 19억 호주달러(13억 미국 달러)로 추산했다. 한화로 환산하면 1조7000억원 가량이다. 코알라와 캥거루 같은 야생동물의 사망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는 돈으로 환산할 수 없을 정도다.

구경민 기자 kmkoo@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