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2030대 환자 최근 4년 새 2배 가까이 증가
우울증으로 병원을 찾는 20~30대 환자가 최근 4년 새 2배 가까이 늘어났다. 특히 2020년 발생한 코로나19로 달라진 생활 방식에 적응하지 못한 젊은 층의 진료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7~2021년 우울증 환자는 68만 명에서 91만 명으로 34% 증가했다. 이 중 20~30대 환자는 15만9,000명에서 31만 명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우울증 환자는 코로나19 기간이었던 2020~2021년에 가장 큰 폭(7만2,977명)으로 늘어났다. 30대 남녀 우울증 환자도 같은 기간 가장 큰 폭(5,563명·1만4,384명)으로 증가했다.
20대 남자 우울증 환자는 2020~2021년 증가 폭이 6,730명으로, 2017~2018년(7,920명)에 이어 2번째로 많았다. 20대 여성 우울증 환자도 같은 기간 증가 폭이 2만38명으로 2019~2020년(2만2,881명)을 뒤따랐다.
박진경 강동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함께 급증한 2030 우울증에 대해 알아봤다.
-청년들의 진료실 방문이 늘었는데 코로나19 영향 때문인가.
“보건복지부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포털에 따르면 코로나19를 기점으로 20~30대 우울증 진단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는 코로나19로 삶의 패턴이 많이 바뀐 만큼 젊은 층이 생활 터전이나 방식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힘들어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우울·불안장애는 어떻게 구분하나.
“우울장애를 진단할 때 주요 증상의 하나로 불안이 있을 수 있다. 2개가 서로 같이 있는 경우도 많고, 불안장애를 오래 앓다 보면 우울장애가 합병증으로 오기도 한다. 하지만 불안장애를 진단하는 좀 더 전문적인 진단 기준도 있습니다. 우울장애와 불안장애를 구분하는 것은 의사의 몫이다. 증상만으로 진단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 환자의 상태나 상황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어떤 증상이 있을 때 병원을 찾아야 하나.
“우울장애나 불안장애는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구성돼 있다. 우울감은 정상적인 감정이다. 하지만 이와 함께 만사가 귀찮고 초조하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증상이 있다면 의심해 봐야 한다. 이런 감정들은 우울장애의 기분 증상에 속합니다. 우울장애의 진단 기준에서 이런 기분 증상은 3분의 1 정도 차지한다.
다른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가 생각 증상이다. 우울감이나 불안에 잠식돼 ‘나는 왜 살까?’ ‘나는 가치가 없어’라고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젊은 친구들이 이야기하는 자괴감이나 ’나 때문이야‘하는 생각도 여기에 속한다.
이 생각 증상이 심각해지면 ’죽는 게 나아’ ‘나만 없어지면 돼’라고까지 확장된다. 또 신체 증상이나 행동 증상으로 잠이 안 온다든지, 중간에 자주 깨든지, 입맛이 뚝 떨어지든지 하는 증상이 생긴다. 심각해지면 몸이 너무 무거워 움직이기가 힘들다는 무기력한 증상도 나타난다. 우울·불안하고 자꾸만 부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지지 않는다면 병원 진료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이런 이유로 일상생활이 힘들거나 무기력해져 직업·학습·대인 관계에서 문제가 생기면 전문의를 만나야 한다.”
-어떤 치료를 받는가.
“장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치료는 약물 치료다. 흔히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라고 하면 상담 치료, 좀 더 정확한 용어로는 정신 치료를 생각하지만, 기본적으로 병원을 찾아 진단받은 환자 대부분은 약물 치료와 함께 정신 치료를 병행한다. 가장 빠르고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약물 치료만으로 모든 증상을 호전시킬 수는 없겠지만, 우울·불안 장애 증상들의 상당 부분이 신체적 증상인 점을 고려할 때 약물 치료는 매우 적절한 치료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완치를 위한 기초 발판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우울증과 관련해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주위 사람들은 ‘너만 힘든 것 아니야’ ‘얼마나 힘든지 잘 안다’는 등 섣부른 말이나 충고는 하지 말아야 한다. 지인의 힘든 상황을 바라봐 주고, 그저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도움이 될 수 있다.
우울장애란 우울감이란 증상을 일부 가지고 있을 뿐, 사실은 다양한 증상이 복합적으로 모인 병이다. 불안장애도 마찬가지다. 우울장애나 불안장애를 ’마음의 병’이라고 하는데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마음, 기분 증상은 진단 기준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나머지 생각 증상과 행동 증상이 모여 우울장애나 불안장애 진단을 받게 된다. 정신건강 질환은 ’마음의 병’만이 아닌 신경 계통의 복합적인 질환으로 건강한 신체가 필수적으로 뒷받침돼야 한다. 우울증을 극복하려면 잘 자고, 잘 먹고, 잘 쉬도록 배려해야 한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dkw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세상과 기꺼이 부대끼려 해요"... 햇빛 속으로 나선 은둔형 외톨이
- [단독] 경비원 밟고 폭행한 입주민... 이웃은 “부끄럽다” 모금운동
- 내시경검사에선 이상 없는데 시도 때도 없이 복통 생긴다면…
- 한국은 왜 일본보다 유머 없는 사회가 됐을까
- 육사에서 내몰린 홍범도 흉상… 잠수함은 이름 지킬까
- 군검찰 무리한 수사 역풍 맞나... '항명' 혐의 박정훈 대령 구속영장 기각
- 간토 조선인 학살 100년인데... 한일 정상, '침묵'으로 외면
- "소득보장 퇴색" 국민연금 개혁 첫발부터 두 동강…소득대체율 갈등 격화
- [르포] "고래를 살려주세요!"... 상괭이 주검이 말하는 가여운 죽음
- 낙태가 '죄'가 아닐 때, 행복한 '사람'이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