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1000만명씩 죽는 이 나라…묘지 부족해지자 꺼내든 묘안은 [박민기의 월드버스]
비석 세우는 ‘전통 묘지’도 점점 디지털화
작년 한해 中 연간 사망자 1040만명 달해
시신·유골 안치할 땅 부족에 정부 직접 나서
전통 방식 대비 3분의 1 가격 등 장점 많아
최근 중국 내 디지털화가 가장 잘 진행되고 있는 분야는 경제입니다. 바이두와 텐센트 등 빅테크 기업들이 디지털 차이나 실현을 위해 인공지능(AI)과 정보기술(IT) 등 미래 산업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중국 사회에서도 디지털 혁신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다만 중국 사회에 갑작스럽게 몰아친 디지털 혁신 주체는 첨단 기업이 아닌 상조 회사들입니다. 고인을 땅에 묻고 비석을 세우는 과거 전통적 형식의 장례 문화 대신 고인의 생전 사진 등을 스크린 등에 간소하게 전시하는 ‘디지털 묘지’가 새로운 장례 문화로 거듭나고 있는 것입니다.
과거 중국의 장례 절차는 까다로웠습니다. 누군가 사망하면 고인의 시신을 화장한 뒤 이를 묻고 비석을 세울 부지를 확보해야 했습니다. 이 같은 과정을 거쳐 묘지가 들어서면 유가족과 친구 등 연을 맺었던 사람들이 촛불을 밝히는 등 분향하고 고인을 기리는 것이 통상의 장례 모습입니다. 그러나 최근 중국 사회에서 새로운 장례 풍습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고인을 화장한 뒤 땅 속에 묻는 대신 대도시 중심부에 설치된 마치 은행 금고처럼 생긴 ‘디지털 공동묘지’에 안치하는 것입니다. 고인의 디지털 공동묘지 앞에는 전통적 비석 대신 고인의 생전 사진과 생활 모습 등을 보여주는 작은 전광판이 설치됩니다.
최근 할머니를 떠나보낸 40대 중국 여성은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과거 형태의 공동묘지에 가면 비석만 덩그러니 있어서 같이 간 손주들이 고인의 생김새 등 아무 것도 알 수가 없었다”며 “그러나 디지털 묘지는 온 가족이 함께 모여 고인의 생전 모습을 보며 기억을 떠올릴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중국 사회에서 새로운 장례 문화가 떠오른 가장 큰 원인으로는 인구 고령화와 급격한 사망자 수 증가에 따른 토지 부족 등이 지목됩니다. 중국 통계국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연간 사망자는 약 1040만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 2016년 사망자 수에 비해 6.7% 증가한 수치입니다. 중국 지방정부와 상조 회사들은 이 같은 문제에 직면하면서 다방면으로 새로운 방식의 장례 문화 도입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공동묘지는 이를 위한 대표적 혁신 중 하나입니다. 중국은 오는 2035년까지 전국에서 공동묘지가 차지하는 부지 면적을 현재의 약 70% 수준으로 줄여나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푸수위안의 진 레이이 부회장은 “고인의 생전 흔적을 모두 한 데 모아 유족들이 언제든 볼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회고록을 만드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며 “이는 미래 세대가 고인이 어떤 사람이었는지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디지털 묘지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바로 합리적인 가격입니다. 고인의 유가족이 만약 베이징에서 디지털 묘지를 조성하고 싶다면 평균 5만6000위안(약 1027만 원)의 비용이 필요합니다. 이는 베이징에서 비석을 세우는 전통적 방식의 묘지를 조성할 때 들어가는 비용의 약 3분의 1 수준입니다. 합리적 가격을 바라는 수요가 늘면서 올해 초부터 베이징에 준비된 약 7000개 디지털 묘지 중 500개 이상이 이미 판매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설치 공간 최소화로 전통 묘지보다 필요한 부지 면적을 대표 줄일 수 있다는 점도 최대 장점입니다. 디지털 묘지 1개당 크기가 20㎡에 그치기 때문입니다. 기존 비석과 묘지 6개가 조성될 수 있는 부지에 디지털 묘지는 약 150개가 설치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묘지는 이처럼 중국 사회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 일으키며 젊은 층의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약 14억 명 인구를 바탕으로 상조 서비스 수요 전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중국시장을 디지털 묘지가 안정적으로 흡수한다면 그 어떤 산업보다 빠르게 사업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지난 2020년 2580억위안(약 47조2800억 원)이었던 디지털 묘지 시장 규모는 오는 2026년 4110억위안(약 75조3200억 원)까지 폭발적으로 성장할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 그러나 아직 중국 국민 대다수 사이에서 죽음을 다룰 때 존중을 표하는 기존의 전통적 방식을 중시해야 한다는 인식이 만연한 만큼 이는 디지털 묘지가 앞으로 넘어야 할 숙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인기에 브라질서 난리난 음식의 정체 - 매일경제
- 혜리 “1등석이 이코노미로” 폭로에 델타항공 해명 보니... - 매일경제
- 두배 더 내고 3년 늦게 받으라고? … 국민연금 개혁안에 분통 - 매일경제
- “돈이 얼마나 많길래”…38세 빈살만, 불로장생에 매년 1조 3170억 지원 - 매일경제
- 파킹통장·초단기예적금 …'나만의 비상금'으로 딱 - 매일경제
- ‘국민연금 보험료율, 0.6%p씩 올려 12~18%로 상향’…보고서 공개 - 매일경제
- 호날두 고향에서 시작된 추악한 제도…인류의 혀를 길들였다 [역사를 바꾼 사물들] - 매일경제
- 재선 비상등 켜진 바이든이 겨눈 반도체 규제 칼끝 ‘중국’아닌 ‘중○’이었다 [위클리반도체
- ‘엔비디아 한방’에 7만전자 안착…개미들 “10만전자까지 가즈아” - 매일경제
- 美 “호날두·네이마르가 울산에 지면 반응 궁금”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