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 지민 덕에 완전 떴다···태국에선 '팝업 스토어'까지 열렸다는데

김태원 기자 2023. 9. 1. 23: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BTS 멤버 지민이 불닭볶음면을 먹는 모습. SBS 방송화면 캡처
[서울경제]

한국 라면이 출시 60년을 맞아 해외에서도 돌풍을 일으키며 인기를 입증했다.

올해 1∼7월 라면 누적 수출액은 처음으로 5억달러를 넘으며 같은 기간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드라마와 영화 등 ‘K콘텐츠’ 흥행도 성장에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관세청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라면 수출액은 5억2202만9000달러로 집계됐다. 기존 최대치였던 지난해 1∼7월 수출액(4억4334만1000달러)보다 17.7% 늘어났다.

1∼7월 라면 수출액은 2015년부터 매년 늘었다. 2015년 1억2172만4000달러에서 2017년 2억309만2000달러로 2억달러 선을 넘었고 2020년 3억5856만3000달러로 상승한 뒤 지난해에는 4억4334만1000달러, 올해 5억달러대를 기록했다.

연간 기준으로 지난해 7억6543만달러를 기록한 라면 수출액은 올해 10억달러를 돌파할 가능성도 있다.

1∼7월 라면 수출량은 2015년 3만304.7톤에서 올해 13만4790.5톤으로 4.4배가 됐다.

연합뉴스

해외에서 한국 라면 수요가 증가한 주요 원인으로는 K콘텐츠 확산이 꼽힌다.

한국 영화와 TV 예능 프로그램 등에서 라면을 먹는 모습이 노출되며 한국 라면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는 것이다.

영화 '기생충'에 나온 '짜파구리'(농심 짜파게티와 너구리)는 실제 해외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농심 관계자는 이와 관련, "한국 문화가 점차 인기를 끌며 한국 라면도 함께 주목받기 시작했다"며 "2020년 기생충 아카데미 수상, 방탄소년단(BTS) 효과를 기점으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타고 전 세계의 트렌드로 자리 잡는 모양새다.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의 경우 BTS 지민이 라이브 방송 등에서 먹는 모습이 화제가 되며 이 제품을 먹는 SNS 챌린지가 각국에서 진행되기도 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간편식 특수가 지속된 것도 한국 라면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라면은 한 끼 식사 개념으로 깊은 맛과 충분한 영양을 제공하고 한국 음식문화를 함께 전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같은 인기를 증명하듯 지난 6~7월 태국 방콕 최대 쇼핑센터인 ‘시암 디스커버리’에서 태국 MZ세대(밀레니엄+Z세대)를 겨냥해 한국의 라면 문화를 선보이는 ‘보글보글 K-라면 팝업스토어’가 열리기도 했다.

지난 6월24일부터 5주간 태국 방콕에서 열린 ‘라면 팝업스토어’가 현지인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SBS 보도화면 캡처

이노션이 선보인 팝업스토어는 시암 디스커버리 3층에 있는 약 105평(약 347㎡)의 대규모 공간에서 열렸다. 라면 브랜드 제품 7500여 개가 동시에 전시됐다. 파트너사로는 한국 라면 브랜드를 대표하는 농심, 팔도, 오뚜기, 삼양이 참여했다.

해외 각국에서 수요가 늘어나자 각 라면업체는 생산량 제고를 위해 증설에 나서고 있다.

삼양식품은 지난해 5월 수출용 제품을 전담 제조하는 밀양공장을 준공한 데 이어 올해는 이 공장 부지에 2공장을 신설하기로 결정했다.

농심은 지난해 미국 2공장을 완공해 공급량을 확대했고 이르면 2025년 미국 3공장 착공에 나선다.

미국 사업이 성장세를 보이자 농심은 오는 2030년까지 미국 라면시장에서 1위에 오르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업계와 학계에서는 앞으로 한국 라면에 대한 수요가 더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K콘텐츠의 세계화와 더불어 K푸드 수요가 전 세계적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과 인플레이션으로 합리적 소비 니즈(요구)가 늘었고 K콘텐츠 확장에 따른 K푸드의 수요가 더해져 한국 라면 매출은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도 "MZ세대를 중심으로 한국 라면에 대한 수용성이 높다"며 "수요 증가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태원 기자 revival@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