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국도 외면한 ‘간토학살’ 진상규명…“한일 협력으로 풀어야”

최혜림 2023. 9. 1. 21: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보신 것처럼 일본 정부는 모르쇠로 일관하고, 우리 정부 역시 적극적으로 나선 적이 없습니다.

시민단체와 유족들이 추모비를 마련하긴 했지만 100년이 지난 지금도 사실상 외면받고 있는 겁니다.

최혜림 기자입니다.

[리포트]

100년 전 작성된 사망신고서.

간토 학살 당시 희생된 고 남성규 씨의 기록입니다.

[권재익/고 남성규 씨 외손자 : "(당시 일하던) 회사에서 그 사람들(조선인 노동자)을 후지오카 경찰서에다 (보호해 달라고) 위탁을 했어요. 폭도들이 찾아와가지고 항의도 하고 내놔라, 조선인들은 우리 것이다, 내놔라."]

무차별 습격에 남 씨와 동료들은 지진 나흘만에 살해됐습니다.

[권재익/고 남성규 씨 외손자 : "17명이 다 학살을 당하고 단 한 분이 지붕을 뚫고 어떻게 숨어가지고 한 사람이 살아오셨어요. 그것을 할머니가 어릴 때 그 말을 하셨어요."]

하지만 이렇게 사망 기록이 확인된 경우는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1923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조사해 독립신문에 보도됐던 희생자 수는 6천661명인데, 이후 100년이 지나도록 각종 자료를 통해 확인된 희생자의 이름은 408명뿐입니다.

100주기를 맞아 시민단체와 유족들이 추모 행사를 이어갔지만, 정부 주도 행사는 없었습니다.

[김종수/간토학살100주기 추도사업추진위원장 : "학살 때도 국가는 없었고, 100년이 됐는데도 지금 한국이, 유족들에게 국가는 없는 상황인 겁니다. 진상조사도 제대로 되어지지 않고..."]

연구자들은 일본 사법성 명부 등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선 정부 차원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성주현/1923제노사이드연구소 부소장 : "공문서 자료 같은 경우에는 개인이 확보하기가 쉽지가 않아요. (양국) 분위기가 좀 좋을 때 오히려 이런 것들을 갖다가 서로 협력해서 풀어나가는 것이 더 긍정적이지 않겠는가..."]

나라를 잃었던 100년 전 학살됐던 희생자들, 이제라도 그들을 추모하고 진상을 밝히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최혜림입니다.

촬영기자:이영재 이상훈 서다은/영상편집:이형주/그래픽:서수민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최혜림 기자 (gaegul@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