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낸다면' 내 보험료는 얼마?…기금 운영은 믿어도 될까?

이예원 기자 2023. 9. 1. 20:2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보험료 얼마나 오르는 건지, 더 내면 연금 언제부터 얼마나 받는 건지, 취재기자와 따져보겠습니다. 이예원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이 기자, 보험료율 그동안 9%였던걸 12%, 15%, 18% 올리는 안이 있다는 거잖아요. 그럼 실제 얼마를 더 내야 합니까?

[기자]

직장인 이모씨의 사례로 살펴보겠습니다.

월급이 300만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소득의 9%인 27만원을 국민연금 보험료로 냅니다.

직장인은 사업주와 절반씩 부담하니까 이씨가 내는 건 매달 13만 5천원이고요.

오늘 발표안 중에는 10년 동안 15%까지 보험료를 올리는 방안에 무게가 실립니다.

이걸 적용해 보겠습니다.

이씨의 월급이 변하지 않는다면, 2025년엔 지금보다 9천원 더 많이, 2035년엔 지금보다 9만원 더 많이 내야 합니다.

[앵커]

그런데 직장인 회사에서 절반 내주지만 자영업자는 아니잖아요?

[기자]

자영업자 같은 지역가입자는 보험료를 혼자 다 내야 하니 부담이 더 큽니다.

똑같이 300만원을 벌어도, 지금은 매달 27만원내던 걸 2035년부턴 45만원을 내야 합니다.

[앵커]

여기에 대한 대책은 오늘 없었던 거고요, 그럼 이런 식으로 바뀌면 기금이 바닥날 걱정은 안 해도 됩니까?

[기자]

그렇진 않습니다.

보고서에서는 국민들이 낸 보험료로 투자를 잘 해서 수익을 더 많이 내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평균 수익률이 4.5%인데 1%p 높이겠다고 합니다.

더 많이 내고, 더 늦게 받는 것뿐만 아니라 수익률도 높여야 기금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수익률이라는 건 변수가 많아서 장담하기 어렵습니다.

당장 지난해에 수익률은 약 마이너스 8%로 80조원 가까운 손실을 봤습니다.

[앵커]

일단 정년이 지나도 한동안 연금이 안 나오는 상황인 건데, 그럼 받는 연금은 충분합니까?

[기자]]

이번 보고서에서는 소득대체율을 기존대로 40%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한 달에 평균 300만원 벌었으면 연금으로 월 120만원씩 받는다는 겁니다.

그런데 함정이 있습니다.

40년 내내 가입했을 경우입니다.

실제론 중간에 직장을 잃거나 여러 이유로 다 채우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실질 소득대체율'을 따져봐야 하는데 24% 정도입니다.

그래서, 국가가 재정을 더 투입해서 소득대체율을 40%보다 더 높이자는 의견도 있습니다.

정부가 국민연금에 투입한 돈은 OECD 회원국 가운에 최하위권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 관련 기사
빨라진 국민연금 고갈…방안은 결국 "더 내고, 더 늦게 받자"
→ 기사 바로가기 :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42381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