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외교원장 “韓 정체성은 자유민주주의… 정확한 좌표 설정 필요”

김은중 기자 2023. 9. 1. 16:2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외교원 60주년 특별대담
尹정부 외교·안보 핵심 상당수 배출
“밤샘·끝장 토론이 자양분 됐다”
박철희 국립외교원장이 1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국립외교원에서 열린 60주년 기념식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외교부

박철희 국립외교원장은 1일 “지금 같이 세상이 변하는 시기에 한국이 어느 편에 서야할지 정확한 좌표 설정이 필요하다”며 “한국이란 나라의 정체성은 자유민주주의이고, 한국은 자유주의 국제 질서(liberal international order)에서 얻는 것이 많은 나라”라고 했다. 이어 “지난 정권이 연장됐다면 한국은 국제사회에서 외톨이가 됐을 것”이라며 “우리가 이룬 성취에 대해 자존심·자긍심을 갖고 국제 사회로 나아갈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고 했다.

박 원장은 이날 오후 국립외교원 60주년을 기념해 주최한 특별대담 ‘대한민국 외교 구상의 산실 국립외교원: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에서 이같이 말했다. 토론에는 박 원장을 비롯해 국립외교원을 거쳐간 김성한 고려대 국제대학원 교수(전 국가안보실장), 윤덕민 주일대사가 참여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 신범철 국방부 차관 등 윤석열 정부 외교·안보라인 상당수가 과거 국립외교원에서 교수로 근무한 경력을 갖고 있다. 참석자들은 “무자비하고 참혹하기까지 했던 밤샘·끝장 토론과 정책 트레이닝이 오늘의 우리를 만들었다”고 입을 모았다.

김성한 전 국가안보실장이 1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국립외교원에서 열린 60주년 기념 특별대담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유튜브

김 전 실장은 1994년부터 2007년까지 13년 동안 국립외교원 전신인 외교안보연구원에서 미주연구부장 등을 지냈다. 그는 “앉아서 토론만 해서는 양질의 보고서가 나오기 힘들다”며 “외교부 국장·심의관들과의 직접 소통 등 국립외교원이 가진 자산을 최대한 활용해야 민간 싱크탱크들을 능가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용산 대통령실이나 외교부에선 하루에도 20~30개의 의사결정이 이뤄지기 때문에 싱크탱크가 조력할 수 있는 부분이 적지만 통찰력있는 보고서를 통해 거시적인 측면을 짚어준다면 눈길이 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윤 대사는 1991년부터 약 27년을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로 일했고, 박근혜 정부 때인 2013~2017년에는 두 차례 국립외교원장을 지냈다. 윤 대사는 “국립외교원은 우리 외교안보 정책의 산실로 글로벌 중추국가(윤석열 정부), 비핵·개방3000(이명박 정부), 북방 정책(노태우 정부) 등 대한민국 외교의 뼈대와 골격을 만드는데 보이지 않는 역할을 해왔다”고 했다. 이어 국립외교원의 외교 인재 양성 기능 관련 “젊은 외교관들의 능력이 상당한데 이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게 해줘야한다”며 “외교관이 정치에 휘둘리지 않고 국익에 따라 소신있게 합리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 보장이 중요하다”고 했다.

박 원장은 “밑바닥까지 드러내는 치열한 토론을 통해 모든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만드는 것이 국립외교원이 꼭 지켜나가야 할 전통”이라고 했다. 이어 광화문에 있는 외교부 본부와 서초구 양재동의 국립외교원 간 지리적 거리를 언급하며 “본부와 소통을 강화해 사안별로 협업하고 실제 도움이 되는 보고서·대안을 제시하겠다”고 했다. 박 원장은 “학교와 국립외교원에서의 교육은 달라야 한다”며 “학교에서는 이론을 말하지만 외교관은 전략적 사고를 하며 큰 그림을 볼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