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안 짓는 건설사... 주택 공급난에 집값 자극 우려 커진다

김동욱 2023. 9. 1. 0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건설사들이 극도로 몸을 사리면서 주택 건설 실적이 급감하고 있다.

2, 3년 뒤 주택 공급이 크게 줄어 부동산시장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 추세대로면 수년 뒤 심각한 주택 공급 부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다시 집값 상승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여기에 더해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부실시공 문제로 대대적인 혁신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공공주택 물량 공급까지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집값 바닥론 점검]
1~7월 인허가 29%·착공 54% 급감
정부 "압도적으로 움직이겠다"
서울 서초구 반포 일대 아파트 풍경. 왕태석 선임기자

최근 건설사들이 극도로 몸을 사리면서 주택 건설 실적이 급감하고 있다. 2, 3년 뒤 주택 공급이 크게 줄어 부동산시장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도 '초기 비상'을 언급하며 대책 마련에 나섰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7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1~7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0만7,278가구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29.9% 감소했다. 같은 기간 주택 착공 물량은 10만2,299가구로 54.6% 감소하며 반 토막 났다. 주거 수요가 가장 높은 아파트 착공(전국)은 7만7,091가구로 54% 줄었다. 이런 흐름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7월만 놓고 보면 주택 인허가 실적은 1년 전보다 50%, 착공 실적은 무려 71.7% 줄었다.

통상 아파트는 착공 후 2~3년, 인허가 후 3~5년 뒤 입주가 이뤄진다. 현 추세대로면 수년 뒤 심각한 주택 공급 부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다시 집값 상승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최근 청약시장을 비롯해 부동산시장이 과열 양상인 것도 시장의 이 같은 우려가 한몫한다. 아파트 분양 물량이 많지 않고 원자잿값 상승으로 분양가가 더 오를 거라는 우려에 고분양가에도 청약 인파가 몰리고 있는 것이다.

실제 1~7월 전국 공동주택 분양 물량은 7만9,631가구로 1년 전(14만3,132가구)보다 44.4%, 5년 전보다는 53.8% 줄었다. 여기에 더해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부실시공 문제로 대대적인 혁신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공공주택 물량 공급까지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국토부가 최근 이 같은 주택 공급 위축 흐름에 대해 "충분히 압도적으로 움직이겠다"며 대응에 나섰지만, 정부 의지만으로 당장 위축된 주택 공급이 눈에 띄게 확대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시장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연관기사
• 서울 집값, 전고점의 90% 육박... "지금이 살 기회" 맞나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83100010004878)
• "집값 더 오를 거라는 불안이 과열로"... 2030 영끌족 재등장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82913260004554)

김동욱 기자 kdw1280@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