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첫 여성참정권 뉴질랜드 아니다? 정답은 남태평양 섬나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 최초로 여성참정권을 인정한 나라는?'이라는 질문에 '1893년 뉴질랜드'라고 답할 사람이 꽤 있을 것이다.
그런데 뉴질랜드보다 더 빨리 여성참정권을 인정한 곳이 있다.
여성참정권에 대한 흥미로운 역사이다.
이 책은 성문 헌법의 출현과 확산을 통해 근대 세계의 부상을 새롭게 논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로 여성참정권을 인정한 나라는?’이라는 질문에 ‘1893년 뉴질랜드’라고 답할 사람이 꽤 있을 것이다. 이는 법·정치 관련 상식 문항으로 종종 나온다. 우리나라는 1948년 제정된 헌법에서 여성참정권을 부여했다. 그런데 뉴질랜드보다 더 빨리 여성참정권을 인정한 곳이 있다. 남태평양 투아모투 제도 동남쪽에 있는 영국령 작은 섬 핏케언이다.
1838년 11월, 영국 군함 플라이호의 대령 러셀 엘리엇이 이 섬에 상륙했다. 엘리엇은 ‘준수해야 할 몇 가지 성급한 규정’을 작성했다. 주민의 가축·나무의 보존과 벌목, 6세~16세 아이들의 의무교육 등의 법률이 제정됐다. 그리고 ‘핏케언의 치안판사 겸 최고통치자’ 선거가 매년 1월 1일 치러질 것이라고 명시했다. 투표인 자격 조건은 그 섬에서 태어났거나 거주 기간이 5년 이상인 주민이었다. 이를 충족한 18세 이상의 모든 섬사람은 투표할 수 있었다. 여성참정권에 대한 흥미로운 역사이다.
이 책은 성문 헌법의 출현과 확산을 통해 근대 세계의 부상을 새롭게 논한다. 1750년대~20세기 세계 차원의 성문 헌법 역사를 추적하며 유명 헌법을 재평가하고, 그동안 하찮게 여겨졌지만 근대 세계 부상에 핵심 역할을 한 헌법들을 되살려낸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