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컷 먹고도 살 뺀다?” 치매 치료제서 발견한 놀라운 효능, 꿈의 다이어트 가능해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 세계 10억명에 달하는 비만 환자들에게 희소식이 전해졌다.
국내 연구진이 뇌 속 별세포가 비만을 조절할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부작용은 없고 효과는 월등한 새로운 비만 치료제를 개발했기 때문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뇌 속 별모양의 비신경세포 '별세포'에서 지방 대사 조절 원리를 찾아내고 연구진은 직접 개발한 신약 'KDS2010'을 투여한 동물 실험에서 식사량 조절 없이 체중 감량에도 성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부작용 없고 효과는 월등한 차세대 비만 치료제 탄생 기대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전 세계 10억명에 달하는 비만 환자들에게 희소식이 전해졌다. 국내 연구진이 뇌 속 별세포가 비만을 조절할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부작용은 없고 효과는 월등한 새로운 비만 치료제를 개발했기 때문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뇌 속 별모양의 비신경세포 ‘별세포’에서 지방 대사 조절 원리를 찾아내고 연구진은 직접 개발한 신약 ‘KDS2010’을 투여한 동물 실험에서 식사량 조절 없이 체중 감량에도 성공했다.
공복감과 체내 에너지 균형은 뇌의 측시상하부가 관장한다. 측시상하부 신경세포들이 지방 조직으로 연결돼 지방 대사에 관여한다고 알려졌지만, 정확한 지방 대사 조절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측시상하부에서 억제성 신경물질인 ‘가바(GABA)’의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신경세포 군집 GABRA5를 발견했다. 이어 비만 쥐 모델에서 GABRA5 신경세포의 주기적 발화가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했다. 화학유전학적 방법으로 GABRA5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니 지방 조직의 열 발생(에너지 소진)이 감소, 지방이 축적돼 체중이 증가했다. 반대로 측시상하부의 GABRA5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면 체중이 감소했다. GABRA5 신경세포가 체중 조절 스위치인 셈이다.
연구진은 측시상하부의 별세포가 GABRA5 신경세포의 활성을 조절함을 발견했다. 별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한 치매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반응성 별세포(Reactive Astrocyte)는 마오비(MAO-B) 효소를 발현해 지속성 가바를 다량 생성함으로써 주변의 GABRA5 신경세포를 억제했다. 반응성 별세포의 마오비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면 가바 분비가 줄어 GABRA5 신경세포가 활성화되고, 지방 조직의 열 발생을 촉진함으로써 식사량 조절 없이 체중이 감소했다.
반응성 별세포의 마오비 효소가 비만 치료의 효과적 표적임을 실험으로 증명한 것이다.
이창준 단장은 “반응성 별세포의 마오비 효소는 당초 치매 치료제 개발을 위한 신약후보물질이었다”면서 “치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연구하던 중 비만에 효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지난 2019년 뉴로바이오젠으로 기술 이전해 현재 임상 1상 시험 중이다. 2024년 임상 2상 예정인 선택적·가역적 마오비 억제제 'KDS2010'을 비만 쥐 모델에 투여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이 역시 식사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지방 축적 및 체중을 크게 감소시켰다.
사문선 박사후연구원은 “기존 시상하부를 표적한 비만 치료제는 식욕 조절에 관련된 신경세포 기전에만 집중된 측면이 있었다”며 “이를 극복하고자 비신경세포인 별세포에 주목하였고 반응성 별세포가 비만의 원인임을 밝혔다”고 말했다.
이창준 단장은 “비만은 세계보건기구가 ‘21세기 신종 감염병’으로 분류하고 세계 10대 건강 위험 요인 중 하나로 지정할 만큼 현대인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며 “차세대 비만 치료제로 부상할 KDS2010으로 식욕 억제 없이 효과적인 비만 치료가 이뤄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대사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타볼리즘’ 9월 1일 온라인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지현까지 내세우더니” 충격의 164억 적자…속타는 야놀자
- 방탄소년단 RM, 이슬람 혐오 논란에…"모욕 의도 없었다"
- ‘부모 빚투’ 마이크로닷 "식당서 12시간 근무…변제 위해 끝까지 노력”
- 안혜경, 9월의 신부 된다…예비신랑은 방송계 종사자
- 혈액암 투병 안성기 근황, 김혜수·정경순과 밝은 미소
- 혜리 “1등석 강제 다운, 환불도 안돼”…항공사 횡포에 분통
- 부부 동반모임서 남의 부인 성폭행 시도…30대 소방관
- 서정희" 고 서세원 사망전까지 수시로 전화 했었다"
- "아이라인 짝짝이 됐잖아"…女아나운서 병원서 난동부렸다가
- 유재석 "집에서 현미·잡곡 먹어"…남다른 식단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