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 리스크’에 리더십 위기…대여 투쟁 강화로 시선 분산

윤승민 기자 2023. 8. 31. 21: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단식’ 강수 왜
이 대표 체제 총선 위기론에
당 지지율 반등 등 염두 둔 듯
“오염수 방류 반대” 1박2일 긴급 의총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운데 흰옷)가 31일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 손팻말을 든 채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31일 전격적으로 시작한 무기한 단식은 취임 1년을 맞아 제기된 리더십 문제를 ‘대여 투쟁 강화’로 돌파하기 위한 수로 해석된다. 자신의 사법 리스크에서 여론의 관심을 돌리려는 꼼수라는 시선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이 대표의 선택이 과거 야당 대표들이 얻었던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연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국민의 삶이 이렇게 무너진 데는 제 책임이 가장 크다. 그 책임을 제가 져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윤석열 정권의 실정을 잇달아 언급한 뒤 “국민항쟁을 시작하겠다. 그 맨 앞에 서겠다”면서 무기한 단식을 선언했다. 이 대표는 국회 본청 앞 단식 현장에서도 “당대표 취임 1주년이 됐는데 기대한 만큼 충분한 성과를 낸 것도 아니고 기대에 못 미쳐서 아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무기한 단식을 통해 윤석열 정부의 문제를 부각시키고, 제1야당의 역할을 강조하려는 의도인 것으로 보인다. 그는 간담회에서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대응, 육군사관학교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 변경 논란 등을 열거하며 “민주주의 파괴를 막아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지층을 결집하고 당내 반발을 잠재우려는 의도도 보인다.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과 김남국 의원 가상자산 투자 의혹에 대한 미흡한 대처, 노인 폄하 설화만 남기고 끝난 혁신위원회 등으로 인해 이 대표 리더십에 대한 회의론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잇따른 사법 리스크로 당의 도덕성이 추락하면서 이 대표 체제로는 22대 총선을 치르기 어렵다는 내부 여론이 폭발하기 직전이다. 하지만 육체적 고통이 따르는 단식에 들어간 당대표에게 의원들이 공개적으로 반기를 들기는 부담스럽다는 점도 고려 대상이 된 것으로 보인다.

YS·DJ ‘성과’…황교안 ‘역풍’
여론의 호응 얻느냐가 관건

다만 이 대표가 단식투쟁으로 당 지지율 반등을 비롯한 이익을 거둘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1983년 신민당 총재 시절 23일간의 단식은 신한민주당 창당 등 민주화 진영의 결집이라는 결과를 냈고, 김대중 전 대통령은 1990년 평화민주당 총재 시절 13일간 단식 후 1991년 지방의회 선거, 1995년 지방자치단체장 선거 등 뜻을 이뤘다.

하지만 가장 최근인 2019년 11월 황교안 자유한국당(현 국민의힘) 대표 단식투쟁은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반대 등 뜻을 이루지 못한 채 9일 만에 끝났다. 당시 한국당은 친박근혜(친박) 강성 지지층이 호응하는 대로 황 대표가 단식·삭발하고 장외 집회를 벌이며 대여 투쟁 강도를 높였지만 2020년 4월 21대 총선에서 패했다.

이 대표의 단식 역시 강성 지지층만의 호응에 그치지 않고 여론의 호응을 얻을 수 있느냐가 남은 관건으로 보인다.

한동훈 법무장관, 국회 나와
“단식은 소환 거부 사유 안 돼”

특히 사법 리스크에서 관심을 돌리려는 꼼수라는 여론의 따가운 시선은 단식의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단식이 소환 거부의 정당한 사유가 되지는 못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검찰의 수사를 “스토킹”이라고 비판하면서 체포동의안에 대한 입장, 대표직에서 물러날 것인지 등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오히려 당의 문제를 “침소봉대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 탓에 민주당의 민생 행보가 주목받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이를 다수 의견이 아니라고 하면서 자리를 지키겠다는 뜻을 확고히 한 것으로 보인다.

윤승민 기자 mea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