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K-99 검증위 “국내 연구소 4곳서 재현…초전도 특성 발견 못해”
국내 연구기관들이 LK-99 재현실험에 나서고 있지만 아직 초전도체 현상을 발견한 곳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전도저온학회 ‘LK-99 검증위원회’는 31일 4차 서면 브리핑을 통해 “퀀텀에너지사가 공개한 논문 제조 방법을 채택한 경우와 별도의 공정으로 단결정을 제작한 경우 등 총 4곳의 연구기관이 재현실험을 진행했지만 초전도 특성을 보여주는 사례는 없었다”고 밝혔다. 현재 검증위와 연계해 재현실험을 진행하고 있는 기관은 8곳이다. 검증위는 “연구기관 별로 제조한 시료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기관이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한 많은 시료를 재현해 측정하는 것이 결론 도출에 도움이 된다”고 했다.
먼저 한양대 고압연구소는 LK-99 논문의 제조방법을 토대로 재현시료를 제작했다. 시료는 구조적으로 인도 CSIR 국립연구소와 중국 남동대에서 발표한 논문과 유사했다. 해당 시료는 LK-99와 조성 및 특성이 유사했다. 온도를 내리며 측정한 전기저항률은 영하 13℃부터 영하73℃ 구간에서 급격하게 감소했지만 영하 263℃ 이하에서는 4.5x100Ω·cm에 수렴했다. 도체보다는 부도체에 가까운 물질인 것이다. 외부의 자기장에 의해 물질의 자기 분극이 생기는 자화율도 초전도체가 보이는 특성과는 달랐다.
서울대 복합물질상태연구단도 LK-99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을 적용했다. 하지만 재현시료의 결정 구조는 LK-99와 차이가 있었다. 저항률은 온도가 내려갈수록 5~10배 증가했으며 자화율도 약한 반자성의 특성만 보였다. 부산대 양자물질연구실도 LK-99 논문을 토대로 합성된 전구체의 조성비율을 조금씩 바꿔 두 종류의 재현시료를 합성했다. 첫 번째 시료는 저온에서 전기저항이 증가하는 반도체 성질을 보였고, 영하 123℃~영하 93℃에서 저항의 변화가 관찰됐지만 초전도 특징은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실은 현재 두 번째 시료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재현실험연구에 새롭게 참가한 포항공대 물리학과 연구팀은 LK-99 논문의 제조방법 대신 별도 공정으로 단결정을 제작했다. 단결정 시료에서 부도체 특성이 확인됐고, 이는 막스플랑크 연구소에서 발표한 결과와 일치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inute to Read] Samsung Electronics stock tumbles to 40,000-won range
- “주한미군 이상 없나?” 트럼프 2기 미국을 읽는 ‘내재적 접근법’
- 온 도시가 뿌옇게… 최악 대기오염에 등교까지 중단한 ‘이 나라’
- 한미일 정상 "北 러시아 파병 강력 규탄"...공동성명 채택
- [모던 경성]‘정조’ 유린당한 ‘苑洞 재킷’ 김화동,시대의 罪인가
- 10만개 히트작이 고작 뚜껑이라니? 생수 속 미세플라스틱 잡은 이 기술
- 와인의 풍미를 1초 만에 확 올린 방법
- [북카페] ‘빌드(BUILD) 창조의 과정’ 외
- [편집자 레터] 가을 모기
- [우석훈의 달달하게 책 읽기] 스위스에서 막내에게 농지를 우선 상속하는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