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류승룡에게 설득됐다면, 이미 '무빙'에 흠뻑 빠져들었다는 뜻이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2023. 8. 31. 11: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류승룡, 초능력자의 피, 땀, 눈물까지 공감시킨 미친 연기(‘무빙’)

[엔터미디어=정덕현] 등짝에 칼이 수십 개씩 박혀도, 총알이 팔뚝을 뚫고 심지어 얼굴을 관통해도 툭툭 털고 일어나 본래 상태로 되돌아가는 재생 능력자 장주원(류승룡). 하지만 이 초능력자도 사랑하는 아내의 죽음 앞에서는 오열하며 무너져 내린다. 모든 걸 재생시키고 회복시키는 능력을 가졌지만, 한 사람 앞에 하염없이 눈물을 쏟아내는 이 초능력자는 그것으로 자신이 결국 똑같은 사람이라는 걸 증명한다.

디즈니 플러스 오리지널 시리즈 <무빙>이 국내는 물론이고 전 세계의 대중들의 마음을 흔들고 있는 건 바로 이런 지점이다. 초능력자가 가진 인간적 상처와 고뇌. 물론 이건 슈퍼히어로물의 새로운 이야기는 아니다. 슈퍼맨도 배트맨도 스파이더맨도 인간적 고뇌는 모두 갖고 있지 않았던가. 하지만 <무빙>이 다루는 초능력자들의 인간적 고뇌는 그 서사의 깊이도 다르고, 보다 현실감이 부여되어 있다.

<무빙>의 초능력자들이 저 할리우드 초능력자들과 달리 슈트를 입지 않는 건 그런 현실성을 더 반영한다. 폭탄 테러를 막기 위해 비행기를 향해 날아가는 공중부양 능력자 김두식(조인성)이나 북한에서 남파된 무장공비(북한 능력자가 포함된)를 막기 위해 작전에 투입된 장주원 역시 특별한 슈트를 입지 않는다. 그들은 오히려 지극히 평범한 점퍼 하나를 걸치고 총칼이 난무하는 작전에 투입된다.

초능력자가 등장하는 슈퍼히어로물이면서, 그 서사에 실제 벌어졌던 역사적 사건들을 굳이 연결해 놓은 것도 이런 현실감을 살리기 위해서다. <무빙>은 안기부가 무소불위의 힘을 발휘했던 시절부터 권한이 축소되고 국정원으로 이름을 바꿨다가 다시 힘이 커지는 그 변화의 과정을 북한과 관련된 일련의 역사적 사건들과 연관지어 풀어낸다. 칼기 폭파사건, 김일성 사망, 남북정상회담, 강릉 앞바다 북한 잠수함 침투사건 등등이 그것이다. 남북 간의 치열한 대결구도 속에서(미국의 간섭도 포함해), 국가 간 힘의 대결에 대한 이야기를 초능력자들의 서사로 풀어낸 것이다.

이러한 현실감 위에 초능력자들을 세워 놓은 건, <무빙>이 진짜 하려는 이야기가 세상을 구하는 그런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보다는 이러한 능력을 갖고 있는 이들이 마주하고 있는 비정한 현실을 그리기 위함이고, 그래서 이들의 대결상대는 북한이나 미국의 초능력자라기보다는 저들과 맞대응한다는 명분으로 이들을 인간이 아닌 괴물처럼 마음대로 이용하는 안기부 특별부서의 민용준(문성근) 차장 같은 인물이다.

재생 회복 능력을 가진 장주원의 서사가 더 절절한 현실감을 주는 이유는 이 초능력자의 능력이 그저 깔끔하게 상대를 처리하는 그런 방식으로 발휘되는 게 아니어서다. 이 캐릭터는 한 마디로 '가진 건 몸뚱어리 하나밖에 없는 자'가 살벌한 현실에서 생존해가는 서사를 담고 있다. 지극히 서민적이고, 피와 땀과 눈물이 서려 있다. 그래서 그가 작전에 투입되어 발휘하는 능력의 과정은 멋있다기보다는 짠한 느낌을 준다. 뭐든 온몸으로 받아내고 누군가를 구하기 위해 제 살갗을 찢는 그런 모습이기 때문이다.

회복 능력을 가졌다는 건, 단번에 이 고통이 끝나지 않고 연거푸 계속 피를 흘리고 땀을 흘리며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다는 '천형'의 의미가 담겨있다. 조직에 배신당하고, 안기부에서 이용당하면서도 그가 원한 건 단 하나, 아내와 함께 하는 행복이었다. 안기부 특별부서가 해체되고 하루하루를 생활고를 걱정하며 살게 된 이 평범해진 샐러리맨이 버틸 수 있었던 건, 집으로 돌아왔을 때 그를 꼭 안아주던 아내 때문이었다. "행복하다, 이러면 되는 거다. 이렇게 살자."고 그는 생각한다.

류승룡은 장주원이라는 재생 회복 능력을 가진 이가 겪는 피, 땀, 눈물을 공감시키는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준다. 어딘지 계산되지 않고 앞만 보고 달려가는 이 캐릭터는 류승룡을 만나 액션과 멜로에서 일관성을 느끼게 해준다. 피를 철철 흘리면서도 계속 직진하는 액션과 멜로라니. 초능력자라도 이토록 인간적인 냄새가 느껴지게 된 건, 이 캐릭터의 독특한 현실은유와 더불어 이를 구현하고 표현해낸 류승룡의 공이 적지 않다고 여겨진다.

특히 이 캐릭터는 <무빙>이 그리려 하는 세계, 즉 초능력자라는 판타지를 가져와 그들이 마주한 비정한 현실을 그리려는 그 세계를 납득시키는 존재라는 점에서 더 큰 의미가 있다. 장주원에 설득되면 <무빙>이 가진 세계에 깊이 빠져들었다는 뜻이다. 그래서 그 속에서는 초능력자들이 날아다니고 총에 맞아도 재생되는 그런 장면들이 이상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그보다 더 깊은 이들의 내면에 공감했으니 말이다. 류승룡의 미친 연기는 바로 이런 점에서 <무빙>의 든든한 반석 같은 역할을 해내고 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디즈니 플러스]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