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공간미 시작은 ‘8월의 크리스마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건축의 미는 대충, 그런데 잘. 그러니까 '자연스러움'이라고 생각해요. 실제로 한국 전통 건축은 도면화하기 정말 힘듭니다. 서까래를 드러내는 건 도목수의 기술이거든요. 도면을 대충 그릴 수밖에 없어요."
최효식(사진) 한양여대 인테리어디자인과 교수는 최근 서울 용산구 아모레퍼시픽 본사 내 아모레홀에서 열린 인문교양강좌 시리즈 '아시아의 미(美)' 특강에서 '한국 건축의 미를 한 마디로 무엇이라 생각하냐'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모레퍼시픽재단 50주년 행사
“한국 건축의 미는 대충, 그런데 잘. 그러니까 ‘자연스러움’이라고 생각해요. 실제로 한국 전통 건축은 도면화하기 정말 힘듭니다. 서까래를 드러내는 건 도목수의 기술이거든요. 도면을 대충 그릴 수밖에 없어요.”
최효식(사진) 한양여대 인테리어디자인과 교수는 최근 서울 용산구 아모레퍼시픽 본사 내 아모레홀에서 열린 인문교양강좌 시리즈 ‘아시아의 미(美)’ 특강에서 ‘한국 건축의 미를 한 마디로 무엇이라 생각하냐’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특강은 아모레퍼시픽재단 설립 50주년을 기념해 열렸다. 아모레홀은 강연을 듣기 위해 모인 350여명으로 가득 찼다. 주로 20~30대 젊은층이었다.
‘건축의 눈으로 본 동아시아 영화의 미’ 저자인 최 교수는 이날 저서에서 다뤘던 내용을 더 심도 있게 다뤘다. 1997년 이후 한국 영화의 공간적 특징으로 굳어버린 모더니즘 건축공간에 대한 장면에 대한 분석도 있었다. 현대 한국영화 감독들이 배우들의 연기와 동선이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는 장치로서, 특별한 장식이 없고 백색이나 미색의 상자형 건물을 공간적 배경으로 선호했다는 설명이다.
최 교수는 “진정한 한국영화 속 공간미의 시작은 1998년에 개봉한 허진호 감독의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부터였다”며 “1990년대 후반부터 현대 한국영화 속 공간을 계속 지배해 온 모더니즘 건축의 경향과 더불어, 영화 배경이 되는 야외 촬영지와 실내 촬영장에 지역성과 역사성에 대한 접근도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인공 정원(한석규)과 다림(심은하)이 공유하는 공간, 소유하는 공간에 비치는 건축 양상이 서로 다르다”라며 “이를 통해 한국영화에 포스트모더니즘 건축공간이 끼어들 가능성도 보여줬다”고 덧붙였다.
최 교수가 집필한 ‘건축의 눈으로 본 동아시아 영화의 미’는 아모레퍼시픽재단 연구지원 사업의 결과물로 출판됐다. 학술연구를 기반으로 한 교양도서다. 아모레퍼시픽재단은 ‘아시아의 미’, ‘여성과 문화’, ‘장원(粧源)인문학자 지원사업’ 등 다양한 인문학 분야 연구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정아 기자
dsu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유재석 "집에서 현미·잡곡 먹어"…남다른 식단 관리
- 임지연 연인 이도현, 군 입대 후 근황…늠름한 까까머리
- “아무도 몰랐다?” 김연아 옆 범상치 않은 ‘사진’, 누군가 했더니
- 무인텔서 혼자 자던 여성 “누가 껴안아 죽을까봐 자는 척”…범인은 업주였다
- ‘마스크걸’ 고현정, 역대급 변신과 열연, 그리고 역대급 솔직한 인터뷰
- 라이즈 승한, 사생활 논란 사과…사진 무단 유출엔 '법적 대응'
- 이준기 “연예인병 탈피, 비싸게 배웠다"
- "이제 주2회 나갑니다"…'입시비리 셀럽' 조민 유튜브 본격화
- 황보, 1인 1메뉴 강요에 억울…"음료 4잔보다 비싼 빙수 시켰는데"
- '흉기 위협·폭행' 정창욱 셰프 "실형 부당, 사회에 봉사"…선처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