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춰선 아파트 공사현장…착공 인허가 급감, 2~3년 뒤 공급난 우려

조성신 매경닷컴 기자(robgud@mk.co.kr) 2023. 8. 31. 10: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 아파트 착공 54% 감소
미분양은 5개월 연속 감소
정부, 금융지원 등 대책 논의
서울의 한 정비사업 공사현장 모습 [강영국 기자]
올해 1∼7월 전국의 주택 착공 물량이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 났다. 같은 기간 인허가는 30% 줄었다. 2∼3년 뒤 주택 공급난으로 부동산 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7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0만7278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9.9% 감소했다.

아파트 인허가가 17만8209가구로 24.9%, 아파트 외 주택 인허가는 2만9069가구로 50.3% 줄었다.

7월 한 달간 서울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501가구인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5.4% 줄어든 수치다.

1∼7월 누계 착공 물량도 10만2299가구로 절반 이상(54.1%) 급감했다. 수도권과 지방의 착공 물량(전년 대비 비율)은 각각 5만3968가구(53.7%↓), 4만8331가구(54.6%↓)다.

전국 아파트 착공은 7만7091가구로 54% 줄었다.

반면, 올해 1∼7월 전국에서 준공된 주택은 21만8618가구로 전년 동기보다 2.1% 늘었다. 부동산 경기가 좋을 때 착공한 물량이 완공되며 증가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시장에서는 준공 물량이 소화된 뒤부터는 주택 수급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일반적으로 주택은 착공 이후 2∼3년 뒤, 인허가 3∼5년 뒤 공급(입주)이 이뤄진다.

주택 공급 지표가 급감한 것은 지방을 중심으로 부동산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데다, 금리 인상과 원자잿값 인상으로 사업성이 악화된 탓이다.

이에 정부도 공급 위축 상황을 ‘초기 비상 상황’으로 보고 대응에 나섰다. 최근 주택시장 여건이 개선되고 금리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만기 연장 등 자금 조달을 지원해 민간 공급 여건을 개선하겠다는 방침이다.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7월 말 기준 미분양 주택은 6만3087가구로 전월보다 5.0%(3301가구) 줄었다. 수도권 미분양이 8834가구로 16.3%(1725가구) 감소했고, 지방 미분양도 5만4253가구로 2.8%(1576가구) 줄었다.

공사가 끝난 뒤에도 분양되지 못해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도 작년 10월 이후 9개월 만에 감소했다.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달 9041가구로 전월보다 3.8%(358가구) 줄었다.

미분양은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줄었다. 서울 미분양은 1081가구로 100가구 감소했고, 경기는 6541가구로 685가구 줄었다. 인천 미분양(1212가구)은 940가구 줄어 수도권 미분양 감소 물량이 전체의 52%를 차지했다.

미분양 감소에는 분양 물량 자체가 줄어든 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올해 7월까지 누적 공동주택 분양은 전국 7만9631가구로 지난해 동기보다 44.4% 줄었다. 수도권 분양이 31.7%, 지방에선 55.0% 감소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