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리수'로 바꾸나…민주 "오염수로 불러야"

백운 기자 2023. 8. 31. 03: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원전 오염수를 오염 처리수로 바꿔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 국민의힘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오염수가 맞다며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수산물 소비 활성화를 위한 협약식에 참석한 수협 회장이 오염수 표현을 더는 쓰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노동진/수협중앙회장 : 자꾸 오염수, 오염수 하니 이거에 대한 거부 반응이 또 있는 거예요. 그래서 우리 수산인 모두는 처리수로 명칭을 변경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원전 오염수를 오염 처리수로 바꿔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 국민의힘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오염수가 맞다며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백운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수산물 소비 활성화를 위한 협약식에 참석한 수협 회장이 오염수 표현을 더는 쓰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노동진/수협중앙회장 : 자꾸 오염수, 오염수 하니 이거에 대한 거부 반응이 또 있는 거예요. 그래서 우리 수산인 모두는 처리수로 명칭을 변경합니다.]

안전 검증된 알프스 거쳐 나가는 수산인들 처리수로 부르도록 할게 여당은 '오염수'나 '핵 폐수'는 정치 공세를 위한 용어라며 변경 필요성을 강조했고, 한덕수 총리도 공감을 나타냈습니다.

[한덕수/국무총리 : 정확히 얘기하면 과학적으로 처리된 오염수입니다.]

당장 명칭이 바뀌는 거냐는 질의가 잇따르자 정부는 아직 공식화할 단계는 아니라고 한발 물러섰습니다.

[박구연/국무조정실 국무1차장 : 당에서는 조금 더 전향적인 표현을 쓰시는 거 같고요. 현재까지 총칭하는 차원에서는 오염수 표현이 유지가 될 것 이고.]

민주당은 다핵종제거설비, 알프스가 삼중수소를 거르지 못하고, 설비 성능 문제도 남아 있다며 오염수가 맞는다고 맞섰습니다.

[위성곤/민주당 예결위원 : '일본과 그냥 같아지겠다' 이런 말씀인 걸로 들립니다. 과학적 기준에서 처리된 오염수는 오염수가 아닙니까?] 

이 과정에서 설전도 벌어졌습니다.

[위성곤/민주당 예결위원 : 우리 정부는 도쿄전력의 입이 되어 버렸어요.]

[한덕수/국무총리 : 어떻게 정부가 얘기하는데 일본 도쿄전력의 입이라고 얘기를 합니까? 그거는 정말 기본적인 예의가 없으신 거예요.]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전남 집회에서 핵폐수라는 표현을 동원해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갔습니다.

[이재명/민주당 대표 : 이제 국민이 이 정권을 향해서 국민항쟁을 선언해야 합니다. 핵 폐수 해양투기 중단하라!]

현재 우리나라는 '오염수', 중국은 '핵 오염수'라는 용어를 쓰고 있고, 미국과 유럽연합은 '처리수' 또는 '알프스 처리수'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이찬수, 영상편집 : 박진훈)

백운 기자 cloud@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