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12년 뒤 서울 초중고생 반토막, 학교 위기만의 문제일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학교 통폐합이 지방뿐 아니라 서울에서도 시급한 현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곧 닥칠 학교 통폐합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은 물론이다.
학령인구 감소는 학교 통폐합 수준에 그치지 않고 한국 교육의 지형을 바꿀 가능성이 높다.
학령인구 감소의 근본적 대책은 물론 유례없는 저출산을 막는 것이지만 서울마저 학교 통폐합에 시달리는 교육 위기 상황에서 정부의 큰 그림이 있는지 궁금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학생 수가 줄면서 학교 통폐합이 서서히 가시화하고 있다. 학교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 학교’(초교 240명 이하, 중고교 300명 이하)는 2018년 65곳에서 지난해 119곳으로 가파르게 늘었다. 이미 2020년 강서구 염강초 공진중이 문을 닫았고 광진구 화양초도 올해 폐교됐다. 내년에는 도봉구 도봉고, 성동구 덕수고 성수공고가 문을 닫을 예정이다. 성동구의 중고교 6개 학교도 통폐합이나 외곽 이전을 협의하고 있다.
곧 닥칠 학교 통폐합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은 물론이다. 폐교 위기 학교를 분교화하는 방안이나 폐교된 학교를 문화시설이나 지역 주민을 위한 공간으로 바꿀 수 있도록 여러 규제를 정비하는 것도 필요하다. 학령인구 감소는 학교 통폐합 수준에 그치지 않고 한국 교육의 지형을 바꿀 가능성이 높다. 이미 지방에서 시작된 것처럼 초중고 폐교와 함께 서울 소재 대학이나 수많은 학원 등 교육계가 심각한 구조조정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이는 시도교육청만으로는 감당이 불가능하다.
사회경제적 변화도 만만치 않을 것이다. 학교는 대개 지역의 중심 역할을 한다. 학교 폐교는 상권의 쇠퇴로 인한 지역의 공동화, 더 나아가 슬럼화를 불러오기 십상이다. 30, 40대 등 왕성하게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들이 빠져나가는 것은 물론이고 새로 유입시킬 유인책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
서울은 지금도 새로 지은 대단지 아파트 부근의 초등학교는 과밀 현상을 보이고, 구시가지 학교들은 과소 현상에 시달린다. 학교 폐교가 이어지면 서울에서도 학교가 있는 지역과 없는 지역의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고 이에 따른 사회 갈등이 유발될 수 있다. 학령인구 감소의 근본적 대책은 물론 유례없는 저출산을 막는 것이지만 서울마저 학교 통폐합에 시달리는 교육 위기 상황에서 정부의 큰 그림이 있는지 궁금하다.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울 초중고생 12년후 반토막… 분교-폐교 속출한다
- [김순덕 칼럼]누가 ‘귀신 잡는 해병대’의 신뢰를 떨어뜨리는가
- [단독]새만금, 이차전지 등 신산업 중심 개편 거론
- [단독]육사內 홍범도 흉상 이전, 국방부는 존치 가닥
- [광화문에서/우경임]관료조직은 어떻게 잼버리를 망쳤나
- 사라진 ‘차이나 붐’, 韓기업들 실적 휘청
- 글로벌 100대 유니콘중 韓기업 1곳뿐… 정부 “2조 펀드로 육성”
- 7월 생산 0.7%↓·소비 3.2%↓ ·투자 8.9%↓…6개월 만에 트리플 감소
- ‘與3-野3 소위’ 김남국 제명안 부결… 野내서도 “제 식구 감싸기”
- 오늘부터 코로나 검사비 2만~6만원… 백신-먹는치료제 무상지원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