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홀로서기 막막 자립준비청년... 인천 지역사회가 품어야
부모가 없거나 있더라도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아동은 아동 보호시설 등에서 생활한다. 보육원이나 공동생활가정, 위탁가정 등이다. 하지만 18세가 되면 보호시설을 떠나 홀로서기를 해야 한다. 의지할 곳 없는 이들의 홀로서기가 쉬울 리 없다. 정부와 지자체가 정착금 등을 지원하지만 최소한일 뿐이다. 당장의 생활비 마련을 위해 대출을 받으면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병이라도 나면 더 막막하다. 어려운 일이 닥쳤을 때 조언을 구할 곳도 없다.
인천에서도 해마다 70명의 보호종료아동이 사회로 나온다. 자립준비청년으로의 새출발이다. 그러나 얼마 못 가 생활고에 허덕인다. 30% 정도는 다시 기초생활수급자로 전락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지역 자립준비청년 619명 중 284명을 대상으로 한 인천시 설문조사가 있다. 이들 중 절반 가까이(48.2%)가 ‘생활비 마련이 힘들다’고 답했다. ‘힘들지 않다’는 19%였다. 인천 자립준비청년들의 월평균 소득은 154만3천원 정도였다. 월평균 지출이 130만2천원이다. 그러니 월 저축액은 20만원에 불과하다.
인천 자립준비청년의 절반은 생활비가 떨어져 대출을 받기도 한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44.7%는 ‘대출을 갖고 있다’고 했다. 대출 이유로는 62.2%가 ‘생활비 마련’을 위해서라고 답했다. 이 때문에 몸이 아파도 제때 병원을 가지 못하기도 한다. 설문조사에서도 24.6%가 병원 치료가 필요했으나 병원에 가지 못한 경험이 있다고 했다. 한 자립준비청년은 같이 사는 조모의 수술비 등 집안일까지 감당해야 하는 처지였다.
이들은 특히 성년이 될 때까지 보호시설에 머물며 사회적응 교육이나 경험이 부족하다. 또래에 비해 생활경제나 법률관계 등에 대한 교육도 부족하다. 경제적 어려움 못지않게 정서적 고립감도 이들을 힘들게 한다. 의지하고 조언을 구하거나 정서적으로 기댈 곳이 없음은 좌절감을 준다. 일부 민간단체에서 이들의 멘토가 돼주는 활동도 벌이지만 한계가 있는 듯하다. 인천시가 올해부터 자립준비청년들에 대한 지원폭을 늘리기는 했다. ‘인품(인천의 품)’ 사업이다. 보호종료아동에 대한 자립정착금 800만원을 올해부터 1천만원으로 올렸다. 또 매달 지원하는 자립수당도 지난해 35만원에서 40만원(최대 60개월)으로 늘렸다.
그래도 자립정착금이나 수당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재정 여건상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온갖 복지가 쏟아지는 시대다. 우리 사회의 가장 낮은 곳에서부터 자립을 시작하는 그들에게 더 힘을 보태줘야 한다. 지역사회의 역량을 모아 이들 청년들을 ‘인천의 품’에 품어 안아야 할 것이다.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낀 경기도’ 김동연호 핵심 국비 확보 걸림돌…道 살림에도 직격탄 예고
- 삼천리그룹,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단행
- 공천 개입 의혹 명태균·김영선 구속..."증거인멸 우려"
- 한국 축구, 북중미월드컵 亞 3차 예선서 파죽의 4연승
- “해방이다” 수험생들의 ‘수능 일탈’ 우려...올해는 잠잠하네 [2025 수능]
- "우리 집으로 가자" 광명서 초등생 유인한 50대 긴급체포
- [영상] “온 어린이가 행복하길”…경기일보‧초록우산, 제10회 경기나눔천사페스티벌 ‘산타원
- 성균관대 유지범 총장, 대만국립정치대학교에서 명예 교육학 박사학위 받아
- 어린이들에게 사랑 나눠요, 제10회 나눔천사 페스티벌 산타원정대 [포토뉴스]
- 이재명 “혜경아 사랑한다” vs 한동훈 “이 대표도 범행 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