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NOW] 김정은 집권후 박사 배출 3천명 '배증'

최현석 2023. 8. 30. 16: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ISTI 보고서 "수도에 82% 몰려 평양공화국 입증…지역·성별 격차 극심"
국가 학위·학직 수여 받는 북한 지식인들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2017.7.19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2년 집권한 이후 배출한 박사 학위자가 이전의 2배로 늘었으나, 대부분 평양 출신 남성으로 지역 및 성별 격차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30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북한의 학위·학직자 현황 분석'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김정은이 집권한 2012년 이후 올해 4월까지 약 3만8천명에게 학위·학직을 수여했다. 학직은 교수직 같은 것을 말한다.

2016년부터 공개된 석사 학위자를 포함한 석·박사 학위자는 약 3만명이었으며 학직 수여자는 약 7천400명으로 집계됐다.

북한의 학위·학직은 개별 대학에서 수여하지 않고 국가학위·학직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학위·학직수여위원회가 준다. 1년에 4∼5차례 학위·학직 수여식을 개최하며, 규정에 따라 박탈하기도 한다.

학위 가운데 가장 높은 박사 학위 수여자는 김정은 집권기 동안 3천102명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박사 수여자 수의 연평균 증가율(CAGR)은 6.8%를 기록했다.

북한 평양시 박사에 수여한 휘장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2018.5.30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photo@yna.co.kr

보고서 공동 저자인 최현규 KISTI 국가과학기술데이터본부 책임연구원은 김정은 집권기 박사 학위 수여자가 2001∼2011년 1천558명에 비해 2배로 늘었다며, 전체 학위·학직 소유자의 배출 규모도 이전 시기에 비해 대폭 증가했다고 밝혔다.

2015년 말 처음으로 배출된 것으로 보이는 석사 학위자는 2016년부터 2021년까지 2만3천296명이었으며 연평균 3.1% 증가했다.

김정은 집권기 수여된 학직 가운데 분야별 최고 권위자에게 주는 명예학위인 '원사'는 31명이었으며 후보원사는 136명으로 집계됐다.

교수 학직 수여자는 638명으로 연평균 증가율이 5.4%를 기록했다. 부교수는 6천659명으로 연평균 7.2% 늘었다.

2012년 이후 북한 학위·학직 수여자 추이 [KISTI 보고서 캡처]

이는 김정은 위원장이 2012년 8월부터 '전민과학기술인재화'라는 새 구호를 내세워 젊은 과학인재 양성을 독려한 데 따른 것으로 관측된다.

북한은 전민과학기술인재화 정책 실현을 위해 의무교육 기간을 12년제로 개편하고 고등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 체계 개선을 진행하고 있다. 2018년 박사학위 수여 지식인 중 70% 이상이 자연과학 부문에서 나오기도 했다. 원사 칭호 수여자 31명 중 명단 공개자 29명의 약 80%가 자연과학 부문이었다.

북한은 김정은 집권 후 평양 은하과학자거리, 위성과학자주택지구, 미래과학자거리 등에 새 주택을 지어 주는 등 과학자들을 우대하고 있다.

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0일 "과학기술발전에 누구나 절실한 이해관계를 가질 수 있는 조건과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현시기 당에서 중요하게 강조하고 있는 문제"라고 전했다.

북한, 평양의 '초고층' 아파트 선전 (서울=연합뉴스) 왼쪽부터 2015년 완공된 미래과학자거리의 53층 살림집, 2017년 완공된 려명거리의 70층 살림집, 2022년 4월 완공된 송화거리 80층 살림집. 2022.7.15 [북한 대외용 화보 '조선' 2022년 7월호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nkphoto@yna.co.kr

그러나 학위·학직 수여자의 기관별, 지역별 편차는 극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적으로는 박사 학위 수여자의 82.4%와 교수의 90%, 원사의 100%가 평양에 있을 정도로 수도에 집중됐다.

자강도와 황해남도, 남포, 나선, 양강도 지역에서 배출된 박사 수는 1%에 못 미쳤고 황해북도와 함경북도, 평안북도는 1%대에 그쳤다.

평앙에 김일성종합대학과 김책공업종합대학, 국가과학원, 김형직사범대학, '리과대학' 등이 몰려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박사 학위자 중 3대 연구수행 핵심기관으로 꼽히는 김일성종합대와 김책공대, 국가과학원 소속이 41.3%에 달했다.

이들을 포함한 대학 및 연구소가 학위·학직 수여자의 89%로 대다수였으며 산업체(기업소)에는 약 4%(132명) 정도만 분포됐다.

2012년부터 2018년까지 파악된 박사 학위자 1천752명 중 여성이 13.7%인 240명에 그쳐 성별 편차도 컸다.

최 책임연구원은 "북한이 최근 몇 년 사이 시군발전법을 만들고 지방 공업공장을 현대화하는 등 지방경제 활성화를 부쩍 강조하고 있다"며 "그러나 중앙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하면서도 여전히 자력갱생하라는 방식이라 기술도, 물자도 늘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평양공화국' 말을 듣는 북한이 대학 일원화 및 지방경제 활성화 방안을 통해 기관 간, 도농 간 격차를 줄이고자 하나 빠른 성과를 내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내다봤다.

박사 학위 수여자 지역별 분포 현황 [KISTI 보고서 캡처]

harriso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