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뇌연구원, 우울증 환자 ‘다중뇌파 분석기술’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뇌연구원은 인지과학연구그룹 이찬희 박사와 서울성모병원 채정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해 우울증 환자의 다중뇌파를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찬희 박사는 "뇌파의 진단 능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머신러닝을 이용한 학습모델의 개발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뇌파 분류 모델은 향후 병원에서 우울증 환자를 진단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한국뇌연구원은 인지과학연구그룹 이찬희 박사와 서울성모병원 채정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해 우울증 환자의 다중뇌파를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우울증은 정신질환 중에서도 형태가 다양하고 복잡해 뇌파만으로는 정밀진단이 어렵다. 우울증을 감별하는 뇌파지표로 사용되는 안정상태정량뇌파(REEG), 청각P300유발전위(P300A) 및 세로토닌 활성도를 반영하는 LDAEP 등이 우울증 환자에게서 일관되지 않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들도 있어 진단에 한계가 있다.
공동연구팀은 약물치료 경험이 없는 우울증 환자 31명과 정상인 31명을 대상으로 3가지 우울증 뇌파지표(REEG, P300A, LDAEP)를 측정했다. 이어 머신러닝을 활용해 3가지 우울증 뇌파지표 중 하나만 사용했을 때와 모두 사용했을 때의 성능을 분석했더니, 다중뇌파 분석기술의 분류성능이 정확도가 더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우울증 환자의 뇌파는 정상인에 비해 P300 지표가 더 높고, LDAEP 지표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 환자는 높은 알파 및 델타파 구간에서 안정상태정량뇌파(REEG)의 절대강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들을 활용해 뇌파를 측정했을 때 우울증 환자를 94.52%의 정확도로 구분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찬희 박사는 “뇌파의 진단 능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머신러닝을 이용한 학습모델의 개발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뇌파 분류 모델은 향후 병원에서 우울증 환자를 진단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정동장애저널(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최신호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제 주2회 나갑니다"…'입시비리 셀럽' 조민 유튜브 본격화
- “교도소 가고파” 지하철서 처음 본 60대女 무차별 폭행한 40대女
- 이경규, ‘복수혈전’ ‘폭망’…돈이 심하게 날아갔다”
- 여친 아들 ‘학폭’당하자… 골프채 들고 학교 간 50대의 최후
- “이러니 넷플릭스 못 끊어” 이번엔 BJ ‘살인극’ 뭐길래 난리
- “보는 순간 성욕 느껴”…처음 본 여성 만지고 넘어뜨려 상체 올라탄 30대男
- "선처하겠다" 거짓말이었나…주호민 "처벌해달라" 의견서 냈다
- 손예진, 현빈이 찍어준 사진 자랑…"기술 점점 좋아져"
- 남의 집 앞에 대형견 개똥 놔두고 유유히…‘무개념 견주’ 블랙박스가 포착
- '성유리 남편' 안성현, 또 구속 위기…檢, 4개월 만에 영장 재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