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스티, HBM 필수 장비 양산 준비…“글로벌 반도체 수주 적극 대응”

이정현 2023. 8. 30. 09: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반도체 장비 전문기업 예스티(122640)는 차세대 HBM용 장비 개발에 이어 HBM의 성능 개선에 필수적인 웨이퍼 가압장비의 추가 양산 준비에 돌입했다고 30일 밝혔다.

예스티 관계자는 "예스티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 요청으로 웨이퍼 가압장비를 5차례에 걸쳐 업그레이드한 경험이 있으며,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에 지금까지 21대가량의 장비를 납품한 이력이 있다"며 "자체 기술력과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기존 HBM용 웨이퍼 가압장비의 추가 양산 및 납품뿐 아니라 차세대 HBM용 웨이퍼 가압장비, '패키지 가압장비', 'HBM칠러' 등 공급 품목 확대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반도체 장비 전문기업 예스티(122640)는 차세대 HBM용 장비 개발에 이어 HBM의 성능 개선에 필수적인 웨이퍼 가압장비의 추가 양산 준비에 돌입했다고 30일 밝혔다. 웨이퍼 가압장비 생산을 위한 인력 확보, 클린룸 시설 확충, 유틸리티 시설 정비 등 내부자원을 재배치했으며, 자재 구매도 마쳤다.

예스티는 2011년부터 국책과제 수행 등을 통해 가압장비에 대한 원천기술을 확보해 왔으며, 지금까지 관련 분야에서 총 9건의 특허기술을 획득해 독자적인 진입장벽을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예스티는 국내 반도체 기업들에 총 21대의 가압장비를 이미 납품했으며, 특히 HBM용 웨이퍼 가압장비는 국내 굴지의 반도체 기업이 개발단계부터 공정장비로 사용하고 있다

웨이퍼 가압장비는 HBM 생산의 핵심공정 중 하나인 ‘언더필’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로, 반도체의 성능 개선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언더필은 다수의 D램이 적층된 HBM을 절연수지로 균일하게 경화시키는 공정으로, 칩과 칩 사이 불순물을 없애고, 충격·습도 등 외부환경으로부터 손상을 예방할 뿐 아니라 뒤틀림을 방지해 반도체의 성능을 보호한다.

예스티 관계자는 “예스티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 요청으로 웨이퍼 가압장비를 5차례에 걸쳐 업그레이드한 경험이 있으며,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에 지금까지 21대가량의 장비를 납품한 이력이 있다”며 “자체 기술력과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기존 HBM용 웨이퍼 가압장비의 추가 양산 및 납품뿐 아니라 차세대 HBM용 웨이퍼 가압장비, ‘패키지 가압장비’, ‘HBM칠러’ 등 공급 품목 확대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 대비 데이터 처리 용량과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린 고부가 첨단 메모리 반도체다. 업계에서는 향후 AI 서비스 확대와 자율주행기술의 발전으로 HBM의 고도화 속도는 더욱 빨라질 뿐 아니라 글로벌도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정현 (seiji@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