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살사태’ 건설사 휘청하는데…버핏이 1조 사들인 이 기업은 훨훨
미국 고금리에 주택수요 신규 주택으로 몰려
워렌 버핏도 7억 달러 어치 매수하며 존재감
‘철근 누락 사태’에 국내 심리는 얼어붙어
2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단독 주택 건설기업 D.R.호튼 주가는 올해 들어 이날까지 27% 상승했다. 같은 기간 S&P500 지수가 16% 상승했음을 감안하면 두드러지는 수익률이다. 올해초 주당 90달러대 초반이었던 D.R.호튼 주가는 지난달 25일 131달러까지 올랐다 최근에는 110달러 중반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국내 건설주 시가총액 1위 기업인 현대건설 주가는 올해 들어 5% 상승하는 데 그쳤다. 코스피 지수가 같은 기간 14% 상승했음을 감안하면 부진한 주가 흐름이다.
D.R.호튼은 주택 완공량 기준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 단독주택 건설 기업이다. 주택을 지을 만한 지역을 선정해 사업성을 평가하고 토지를 인수한다. 이후 건설 허가를 받고 하도급 업체를 선정해 건설 과정을 총괄한다. 토지를 직접 개발하거나 주택 건설을 하지는 않는다. 엄밀히 말하면 건설사 보다는 시행사의 개념에 가깝지만 주택 경기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에서 건설사와 유사하다.
한국과 미국 모두 고금리와 원자재 가격 상승이라는 어려움을 함께 겪고 있음을 감안하면 두 기업 주가 차이는 의아하다는 설명이다. 실제 지난 2분기 두 기업의 실적 흐름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매출액은 늘었지만 수익성은 악화한 것이다. 지난 2분기 D.R.호튼의 매출액은 87억3360만달러로 전년 동기 83억4780만달러 대비 4.6% 늘었고, 순이익은 같은 기간 21억8330만달러에서 13억5170만달러로 감소했다. 현대건설도 매출액은 5조5794억원에서 7조1633억원으로 늘었지만 순이익은 2249억원에서 2123억원으로 줄어들었다.
반면 국내 미분양 주택 수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전국 미분양 주택수는 4만1000호이었는데 지난 6월에는 6.6만호로 증가했다. 또 ‘철근 누락 아파트’ 사태로 건설주 전반에 대해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국내 건설 기업들의 주가 흐름은 좋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박윤철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은 한국과 다르게 고정금리 대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최근 높아진 모기지 금리에 부담을 느낀 주택 보유자들이 기존 주택을 매도하고 신규주택을 높아진 모기지 금리로 매수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며 “기존주택 판매가 저조한 만큼 수요는 신규주택으로 쏠리고 있고 신규주택 판매는 우상향 곡선을 기록 중”이라고 말했다. 주택을 구매하려는 수요는 꾸준히 있기 때문에 미국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7%를 넘어선 현재도 구매자들은 시장에 존재한다. 그러나 기존의 저금리 주택담보대출을 고금리로 갈아타면서까지 기존 주택을 매도하려는 수요는 적기 때문에 신규 주택 판매는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워렌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도 지난 2분기 D.R.호튼 등 미국 주택 기업들을 대거 포트폴리오에 편입하면서 건설주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기도 했다. 지난 14일(현지시간) 버크셔해서웨이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2분기 주택건설업체 세 곳의 주식을 사들였다. D.R.호튼 주식은 7억2600만달러어치 매수했고 NVR(7000만달러)과 레나(1720만달러)에도 매수했다.
증권가에서는 미국 건설 기업 주가가 단기적으로는 하락할 수 있으나 금리 인하 이후로는 장기 호황 사이클에 들어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 연구원은 “최근 미국 주택담보대출 30년 고정금리가 7.3%를 웃돌면서 신규 주택 구매 수요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는 이미 얼어붙은 기존 주택 공급과 더불어 신규 주택 공급까지 감소시킬 것이란 예상이다. 향후 미국 장기 금리 하락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떨어면 주택 수요는 늘어날 것이고 감소한 공급과 만나 주택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미국 인구구조 변화 양상도 D.R.호튼과 같은 저가 주택 공급자들에게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이원주 키움증권 연구원은 “향후 미국의 인구는 35~34세, 65세 이상 인구 위주로 증가할 전망”이라며 중저가 주택 수요가 특히 증가할 수 있는 구조라고 분석했다. 이어 “D.R.호튼이 주력하고 있는 중남부, 남동부 시장은 1인당 실질 GDP기준 중하위권 시장으로 소득 기준 중하위권 시장에 비교적 저렴한 주택을 대량 공급하고 있는 업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91m 절벽서 “쾅”…사람살린 현대차 아반떼, 지옥점령한 경주마 [최기성의 허브車] - 매일경제
- ‘성유리 남편’ 안성현 또 구속 기로…檢, 영장 재청구 - 매일경제
- “티파니 아니었다니”…결제 후엔 취소 안되고 판매자 연락두절 - 매일경제
- 女아이돌 합성 성영상물 2000개 만든 ‘그놈’...미국서 잡혔다 - 매일경제
- 미국 일본도 같은 방향 예상했다…태풍 ‘하이쿠이’ 한반도오나 - 매일경제
- 추석 ‘6일 황금연휴’되나…10월2일 임시공휴일 내주 의결할 듯 - 매일경제
- ‘순살사태’ 건설사 휘청하는데…버핏이 1조 사들인 이 기업은 훨훨 - 매일경제
- 항문에 손 넣어 꼬리뼈 교정했는데…소송 당한 병원, 무슨 일? - 매일경제
- “대놓고 차별”…日주점 간 중국인, 칠판 글에 ‘버럭’ 뭐라 썼길래 - 매일경제
- ‘헬멧 이탈’은 이제 그만...김하성, 맞춤 헬멧 받았다 [MK현장]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