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눠먹기 R&D 예산 5조 삭감… 그 돈으로 'A·B·C·D' 키운다
1억원 이하 자잘한 예산 칼질
R&D분야 감축률 16.6% '최고'
반도체·2차전지에 투자 집중
초당 10조번 연산 가능한
AI반도체 2030년까지 개발
◆ 내년도 예산안 ◆
윤석열 정부가 나눠먹기 관행이 심했던 연구개발(R&D) 예산을 5조원 이상 대폭 깎는 대신에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미래형 첨단 산업에 투입하는 예산을 늘리기로 했다. 소규모 사업에 잘게 나눠 지원했던 '모래알' R&D 예산을 수술하는 한편 실제로 산업적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에 재원을 쏟아붓겠다는 '선택과 집중' 전략이다.
정부는 29일 국무회의에서 이 같은 투자 활성화 방안이 담긴 2024년 예산안을 의결했다. 정부는 △AI △바이오(Bio) △사이버 보안(Cyber-Security) △디지털 플랫폼(Digital Platform) 부문을 4대 고부가가치 첨단 서비스 분야로 선정하고 올해보다 22.2% 증액한 4조4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핵심은 AI와 바이오다. 민간기업이 AI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을 지원하는 데 1조2000억원, 신약·줄기세포를 비롯한 바이오 원천 기술 개발 등에 1조9000억원을 각각 투입한다.
법률·의료·학술·미디어·심리 등 5대 분야와 AI를 접목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국가 재정을 투입해 '국가통합바이오 빅데이터센터'도 구축한다.
바이오 부문에서는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을 벤치마킹해 신약·줄기세포 등 바이오 원천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한국 의료 데이터와 미국 첨단 바이오 기술을 융합하는 사업(보스턴·코리아 프로젝트)에도 속도를 붙인다. 보안산업 분야에서는 사이버 보안 펀드를 200억원 규모로 조성하고, 융합 보안 핵심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디지털 플랫폼 정부 부문에도 9200억원의 예산이 배정됐다. 가상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해 공장 입지를 사전에 분석하고, 관련 인허가까지 해결할 수 있는 컨설팅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창의적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주력한다. 이 같은 산업 고도화 예산은 '이권 카르텔' 논란이 불거졌던 R&D 예산을 구조조정해 마련했다. 내년 전체 R&D 예산(25조9000억원)은 올해에 비해 무려 16.6%(5조2000억원)가 감액돼 분야별 예산 중 감축률이 가장 높았다.
다른 사업으로 이관된 R&D 예산이 약 2조원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R&D 재원은 무려 7조원가량 '칼질'을 당한 것이다. R&D 예산은 2018~2022년 연평균 10.9% 불어났으나 가시적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윤석열 대통령이 평소 R&D 예산을 '꿈의 예산'이라고 평가했지만 과학기술계 예산 약 50%가 1억원 이하 자잘한 사업이라는 사실을 보고받고 대폭 감축을 지시했다"며 "업계 나눠먹기식 소규모 예산으로는 제대로 된 사업 성과를 낼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기술 격차를 낼 수 있는 부문에 자원을 집중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출 불씨를 살리기 위해서는 올해보다 4000억원 많은 1조9000억원의 예산이 책정됐다. 정부는 원자력발전, 방산, 플랜트 등 대형 프로젝트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수출금융 1조3000억원을 추가 공급하고, 국내 유망 벤처기업의 해외 창업을 지원하기 위한 '스타트업 코리아펀드'를 신설한다는 방침이다. 세부적으로 원전 수출보증보험과 조선업 선수금 환급보증(RG) 특례 보증을 새로 도입해 각각 1000억원, 2000억원을 투입한다. 2030년까지 10기 수출이 목표인 원전 수출 부문에서는 거점 무역관을 현행 10곳에서 16곳으로 확대한다.
해외 자금을 국내로 끌어오기 위한 예산도 늘린다. 외국인의 국내 직접투자에 대한 현금 지원은 현행 500억원에서 2000억원까지 늘리고, 해외에 진출했다 국내로 복귀한 리쇼어링 기업 보조금은 570억원에서 1000억원으로 확대한다. 특히 국가·첨단전략기술 분야 투자 시 최대 50%까지 지원액을 늘린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 제3차 회의를 열고, '국가전략기술 임무 중심 전략로드맵'을 심의·의결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2차전지 분야에서 리튬이온전지 성능을 이론 한계 수준까지 극대화하고 전고체전지와 나트륨이온전지 등 차세대 전지 기술을 확보하기로 했다. 반도체는 삼성전자 등 업계와 함께 전기를 매우 적게 쓰며 초당 10조번 이상 연산하는 AI 반도체를 2030년까지 개발하기로 했다.
[김정환 기자 / 고재원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보는 순간 성욕 느꼈다”…처음 본 여성 만지고 상체 올라탄 남성 - 매일경제
- 이러니 성공하면 ‘제네시스’ 타겠지…벤츠·BMW 물리친 美친 존재감 [왜몰랐을카] - 매일경제
- “아이 안낳을수 없네” 맞벌이 억대연봉 저리대출…신생아 특공 신설 - 매일경제
- [단독] 주호민, 특수교사에 ‘카톡 갑질’ 정황…선처한다면서 유죄의견 제출 - 매일경제
- “성관계 동의합니다”…남녀가 기록으로 남기는 앱 나왔다는데 - 매일경제
- [속보] 정부, 새만금 개발 전면 재검토…기본계획 재수립 추진 - 매일경제
- “돈 많고 당당해서 성인인줄”…청소년 혼숙에 호텔 직원 ‘벌금’ - 매일경제
- 혼다, 8인승 SUV ‘올 뉴 파일럿’ 6940만원에 국내 출시 - 매일경제
- ‘성유리 남편’ 안성현 또 구속 기로…檢, 영장 재청구 - 매일경제
- ‘기자회견 패스’ 클린스만의 바람 “이강인 부상으로 차질 생겨 곤란, 빨리 회복해 AG 정상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