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리포트] 뇌 읽는 AI, 전신마비 환자 대신 말까지

김범주 기자 2023. 8. 29. 14: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뇌졸중으로 전신마비가 와서 18년째 움직이지 못하는 여성입니다.

말로도, 팔을 움직여서도 의사를 전할 수 없습니다.

컴퓨터가 이 여성의 생각을 읽어서 대신 말을 해줍니다.

연구진은 이 여성의 뇌에 각종 뇌 신호를 읽는 종이처럼 얇은 센서를 넣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뇌졸중으로 전신마비가 와서 18년째 움직이지 못하는 여성입니다.

말로도, 팔을 움직여서도 의사를 전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런 일이 가능하네요.]

컴퓨터가 이 여성의 생각을 읽어서 대신 말을 해줍니다.

[당신들 대단한 것 같아요.]

연구진은 이 여성의 뇌에 각종 뇌 신호를 읽는 종이처럼 얇은 센서를 넣었습니다.

인공지능이 그 신호 중에 지금은 움직이지 않는 혀와 성대에 보내려고 하는 신호만 골라냅니다.

그리고는 그 신호를 해독한 뒤에 마비 전 이 여성이 냈던 목소리로 바꿔서 얘길합니다.

[저한테 아무거나 물어보셔도 돼요.]

[케일로 리틀존 / UC 버클리 연구진 : 보통 사람이 1분에 150 단어를 이야기하는데, 이 해독 시스템은 현재 78 단어를 풀어냅니다.]

기계를 뇌에 넣지 않고 뇌 신호를 읽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습니다. 

MRI를 활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입니다.

[지아 신 칭 / 싱가포르 국립대 연구원 : 이런 영상을 볼 때 어떻게 뇌가 움직이는지 동시에 저장을 하는 거죠. 그리고 그 신호를 인공지능한테 줘서 공부를 시킵니다.]

아직은 초기 단계지만, 완성이 되면 활용도는 무궁무진합니다.

[첸 지하오 / 싱가포르 국립대 연구원 : 생각대로 로봇을 조종할 수도 있고요. 전화 같은 기계를 통해서 말을 못하는 사람도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겠죠.]

마비가 온 사람도 자기 뜻대로 말하고 움직이는 일이 하나 둘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취재: 김범주 / 영상취재: 이상욱 / 영상편집: 이승희 / 제작: 디지털뉴스편집부)

김범주 기자 news4u@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