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학교 급식 수산물 ‘방사능 검사’ 실효성 있나?

홍정표 2023. 8. 28. 19: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대전] [앵커]

앞서 보신대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대책으로 우리 아이들 급식에까지 영향을 주는 건 아닌지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 홍정표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

정부가 일단 단체급식에 수산물 사용 확대를 논의 중이라고 밝혔는데 학교급식 이야기는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어떻습니까.

[기자]

네. 현재 공식적으로 학교 급식은 그 대상에서 빠져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국내 단체 급식 시장 점유율이 높은 업체들을 대상으로 정부가 수산물 확대 활용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고, 정부 기관을 필두로 해서 기업체나 군대 등에서는 조만간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때문에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가장 큰 급식 소비처인 학교도 포함되지 않겠나, 우려할 수 밖에 없는데요.

여기에 이런 우려를 의식해서인지 일본의 오염수 방류 직후인 지난 25일, 교육부에서 학교 급식에서는 안전성이 확인된 수산물만 공급되고 있다 이런 입장을 발표했고 뒤이어 각 교육청에서도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내년부터 대폭 늘리겠다는 자료를 내기도 했습니다.

[앵커]

그런데 교육청에서 한다는 그 방사능 검사, 실효성이 다소 떨어진다고요?

[기자]

네, 일단 겉으로는 수산물에 대한 방사성 핵종 정밀검사를 지금보다 평균 30%가량을 더 늘리겠다 이렇게 돼 있어서 뭔가 검사를 강화하는 것 같지만,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 검사가 각 학교에서 의뢰를 하면 급식에 주로 쓰이는 식재료를 수거해 각 지역 보건환경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하는 일종의 사후 검사인데요.

방류 이후에도 이전과 마찬가지로 사후 검사 형태이기 때문에, 만약 결과에 문제가 있더라도 그땐 이미 학생들이 급식으로 식재료를 섭취하고 난 뒤의 일입니다.

결과적으로 사후약방문이 될 수밖에 없고, 지금까지야 단 한 건도 이상 결과가 나오지는 않았다지만 오염수 방류가 본격화된 상황에서는 결과를 장담하기 힘든 상황인 겁니다.

이마저도 소비가 많은 몇몇 수산물에 검사가 국한된 것이지 전수검사는 더더욱 아닙니다.

결국, 한 건당 8만 원가량 드는 사후 검사에 드는 예산을 늘린 것 뿐이고요.

이 정도 대비만으로는 불안한 학부모 여론을 잠재우기 힘든 게 현실입니다.

[앵커]

학교 현장에서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막상, 정부가 권고하면 학교 입장에서는 반대하기 어려울 것도 같은데요.

[기자]

정부에서 수산물 소비를 독려해도 선택은 결국 소비자들의 몫이잖아요.

학교도 일종의 소비자입니다.

일단 각 학교에서 영양 교사를 중심으로 자체적으로 식단을 짜고 있기 때문에 수산물 소비 여부는 아무리 정부가 '강조'해도 '강요'할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이미 영양 교사들을 중심으로 안전 조치가 부족하다 이런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고요.

전수조사가 불가능한 만큼 수산물 활용을 줄이거나, 아니면 가공 과정에서 방사능 검사를 거친 냉동 손질 수산물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나 민감한 먹거리 문제이기 때문에 수산물뿐만 아니라, 급식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김이나 미역, 멸치, 소금 등 바다에서 나오는 식재료 전반에 대한 정밀 검사 필요성까지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앵커]

정부나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모든 역량을 집중해 안전 검사를 추가로 하겠다 이런 발표들이 나오고 있는데 결국, 국민들의 신뢰를 얻는 게 관건 아닌가요?

[기자]

네, 걸핏하면 나오는 원산지 표시 위반 사례에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대부분 검사가 유통 전 사전 검사이기보다는 사후 검사 성격이 크기 때문에 불안감을 키울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철저한 원산지 관리 감독은 기본이고, 신속하고 명확한 정보 제공과 무엇보다 시장에 물건이 풀리기 전에 사전에 오염도를 측정해 대처할 수 있는 장치가 시급해 보입니다.

[앵커]

네. 오늘 내용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홍정표 기자 (real-eyes@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