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디플레에 日 엔저까지…韓 수출 '이중고'에 끼었다
10대 수출국 중 유일 두 자릿수 감소
반도체 등 ICT 제품 수요 급감 때문
中 경기침체 심각…엔저도 부담 요인
내년 상반기 회복…"규제개선 등 필요"
[서울=뉴시스]유희석 기자 = 한국이 올 상반기 수출이 12.4% 줄며, 세계 10대 수출국 중 유일하게 두 자릿수 수출 감소를 보였다. 세계 수출 순위도 지난해 6위에서 8위로 하락했다.
중국의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과 일본의 엔화 약세로 올해 한국 무역수지 적자는 40조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수출 회복을 위해 금융 지원과 규제 개혁은 물론 출산율 제고와 미래 산업 육성 등 장기 과제도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올해 295억 달러 적자 전망…'불황형 적자' 이어져
하반기부터 수출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오히려 더 줄고 있다. 지난달과 이달 수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16.4%, 16.5% 감소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ICT) 제품 수출이 부진했다. 상반기 반도체·컴퓨터·디스플레이·무선통신기기·가전 등 5대 IT 품목의 수출 감소는 국내 전체 수출 감소의 76.9%를 차지했다. IT 제품 수요가 줄면서 한국 주요 수출 품목인 메모리 반도체 가격도 내림세를 보였다. 128GB 낸드 메모리 가격은 2021년 개당 7.25달러였으나 지난달에는 6.31달러에 머물렀다.
올해 수입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2.0% 줄어든 4137억 달러에 머물고 있다. 수출과 수입이 모두 줄어드는 불황형 적자 상태가 계속되는 것이다.
올해 국내 전체 수출은 지난해보다 7.7% 감소한 6309억 달러(약 835조원), 수입은 9.7% 줄어든 6605억 달러(약 874조원)를 기록할 전망이다.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295억 달러(약 39조원) 정도로 예상된다.
中 경기 침체로 韓 제품 수입 급감…엔저도 부담
특히 우리 반도체의 대중국 수출은 급감했다. 올해 1~7월 우리나라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4억 달러(-40.4%) 줄어든 197억 달러에 머물렀다. 반도체 수출 부진으로 대중국 무역수지도 지난해 흑자에서 올해 1~7월 144억 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더 큰 문제는 중국 경제 성장률이 올해와 내년 각각 5.1%, 4.6% 정도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경기 침체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중국이 부동산 시장 침체로 소비와 투자가 줄어드는 악순환이 계속되면 우리나라 수출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실제 무협 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 5.7%에서 현재 성장률 전망치(5.1%)를 뺀 0.6%p를 중국 경제 회복 지연 효과로 가정하면, 이에 따른 우리나라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0.05%p, 총 수출물량은 0.16%p 하락한다.
엔화 약세도 큰 부담이다. 달러 대비 엔화 가치를 보여주는 엔·달러 환율은 이달 현재 100엔당 0.68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초 0.87달러와 비교하면 22%가량 떨어졌다. 엔화 가치가 떨어지면 글로벌 시장에서 일본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여 국내 수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여행 수지에도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단 엔화가 약세를 보이는 만큼 원화도 약세를 보이고, 한일 수출경합도도 지난 2012년 0.481에서 지난해 0.458로 낮아져 엔저로 말미암은 한국 수출 영향은 이전보다는 줄어들 것이란 예상도 있다.
수출 회복 ICT 제품 수요에 달려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메모리 반도체 수출 증가율이 오는 10월 26.9%, 11월 85.5%, 12월 70.4% 등으로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도체 재고 과잉도 지난 5월을 기준으로 완화하는 추세다. 국내 반도체 재고지수는 지난 5월 243.1에서 지난 6월 213.1로 낮아졌다.
수출 회복 시기는 내년 상반기 이후로 예상된다. 무협이 지난 6월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수출기업의 39.5%가 올해 수출이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으며, 수출 감소를 전망한 기업의 80.9%는 회복 시점을 내년 상반기 이후라고 답했다.
정만기 무협 부회장은 이날 서울 강남구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수출 회복 대책에 대해 "단기적으로 수출기업 금융 애로를 해소하고,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며 노동유연성을 높여야 한다"며 "출산율을 높이고, 규제 완화와 전기차·수소 등 미래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등 장기 과제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eesuk@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월매출 4억' 정준하, 자영업자 고충 토로…"너무 화나 경찰 신고"
- 태권도 졌다고 8살 딸 뺨 때린 아버지…심판이 제지(영상)
- 김숙 "한가인에게 너무 미안해서 연락도 못 해"…무슨 일?
- 허윤정 "전 남편, 수백억 날려 이혼…도박때문에 억대 빚 생겼다"
- 채림, 전 남편 허위글에 분노 "이제 못 참겠는데?"
- '8번 이혼' 유퉁 "13세 딸 살해·성폭행 협박에 혀 굳어"
- "김병만 전처, 사망보험 20개 들어…수익자도 본인과 입양딸" 뒤늦게 확인
- '마약 투약 의혹' 김나정 누구? 아나운서 출신 미스맥심 우승자
- 박원숙 "사망한 아들에 해준 거 없어…손녀에 원풀이"
- "아내 숨졌다" 통곡한 신입에 모두 아파했는데 기막힌 반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