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 실험영화·메일아트·대지미술…멈춤없는 ‘총체예술가’ 김구림

이한나 기자(azure@mk.co.kr) 2023. 8. 28. 11: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실험미술·전위예술 선구자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회고전
70년 예술 작업 230여점 펼쳐
찌그러진 자동차 설치 신작
퍼포먼스 총감독 맡아 열정
김구림, ‘1/24초의 의미’(1969), 단채널 비디오, 컬러, 무음, 10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어쩌다 보니 무용, 패션, 영상 모든 것을 다하게 됐네. 예술을 하다 보니 전부 다 같더라고. (창작이란) 맥이 같아. 그 속에서 이뤄지는 것이.”

1960년대 척박한 한국에서 최초의 실험영화, 일렉트릭 아트, 메일 아트, 대지미술 등을 쏟아냈던 ‘총체 예술가’ 김구림(87)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개막한 대규모 회고전을 앞두고 본인의 예술을 이렇게 소개했다.

최근 개최된 ‘한국 실험미술 1960-1970년대’에 이은 이번 전시 ‘김구림’은 1950년대부터 올해까지 무려 70년 가까운 기간 비디오, 회화, 판화, 설치 등 작품 230점을 펼친 자리다.

1980년대 후반 김구림 <사진=작가 제공>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열리는 본인 회고전에 나온 김구림 작가 <이한나 기자>
경북 상주의 부잣집 아들이었던 그는 미술대학에 입학했지만 학교에서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다며 중퇴하고 독학으로 전위예술의 선봉에 섰다. 1959년 첫 개인전은 대구에서 유화로 열었지만 이후 붓을 버리고 섬유회사에 근무하면서 영화, 연극, 무용 등 다방면에서 활약했다.

그는 1969년 무용 연출로 첫 상을 받으며 예술가로서 인정받았다고 한다. 이번 전시에서도 오는 9월 7일 연극 영화 음악 무용 4개 장르가 연계된 형식에 70여명이 출연하는 퍼포먼스를 총지휘한다.

“미술 작품은 죽고 나서도 보여줄 수 있지만 공연은 못 하지. 이번에 공연을 녹화해 영상이 남으니 참 소중하고 고마운 기회야”

기존 가치와 관습에 대해 부정적인 김구림은 한국아방가르드협회(AG)의 주요 창립 멤버였을 뿐 아니라 1970년 전위예술집단인 제4집단을 결성하는 등 국내 현대미술사에 큰 획을 그었다. 1970년대 일본에 건너가 판화와 비디오아트를 실험하고 1980년대 미국 뉴욕과 캘리포니아 등에서 작업 범위를 넓히는 등 결코 안주하지 않았다.

영국 테이트모던이 그의 아카이브를 대거 소장하는 등 해외에서 먼저 인정받았던 작가는 이번 대규모 회고전에 거는 기대가 컸다. 생애 마지막이 될지도 모를 전시에서 꼭 재연하고픈 작품이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1970년 경복궁 국립현대미술관을 광목천으로 묶어 관을 묻었던 ‘현상에서 흔적으로’다. 오는 9월 뉴욕 구겐하임미술관 순회전에서도 보여주고팠던 아방가르드 대표작이다. 그러나 등록문화재 375호인 건물에 광목천을 대는 것도 행정절차에 막혀 전시 일정을 맞추기 힘들었다. 구순을 앞둔 작가가 국립현대미술관은 물론 문화체육관광부에까지 강력 항의했지만 결국 실현되지 못했다. 김구림은 개막전 기자 간담회에서 “새롭게 파격적인 작품을 보여주지 못해 미안하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당시 그리 혁명적인 아이디어는 어찌 나왔냐는 질문에 작가는 “캔버스에 붓으로 사물을 그리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고 판단해 설치로 방향을 틀었다. 미술관을 광목천으로 묶어 관을 묻는 퍼포먼스는 새로운 미술을 위해서 고리타분한 미술을 관에 넣자는 취지로 작업한 것.”이라고 했다.

김구림, ‘현상에서 흔적으로’(1970), 플라스틱 상자, 얼음, 투명지, 170 x 120 x 20 cm. <작가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전쟁을 경험한 세대인 그는 실존의 문제에 천착하면서 작가의 인위적 개입 없이 존재와 시간의 관계성 속에서 사물이 작품화하는 ‘현상에서 흔적으로’ 연작을 발전시켰다. 삼각형 잔디에 불을 붙인 최초의 대지예술과 얼음을 녹여 종이만 남기는 설치 작품이 대표적이다.
김구림 작가의 신작 ‘음과 양.자동차’(2023) <이한나기자>
불협화음이 가득한 김구림 작가의 신작 ‘음과 양’(2023) <이한나 기자>
또 1980년대 미국 시절 세상 이치를 결국 음양 사상으로 귀결된다면서 실재와 환영, 물과 불 등 상반되는 속성을 병치해 문명 비판적 시각을 표현한 ‘음과 양’연작도 사뭇 현대적이다. 이번에 대형 설치 신작 2점도 내놓았다. 실제 자동차로 충돌 장면을 재연한 작품 ‘음과 양. 자동차’(2023)는 음주운전 등 현대사회 문제를 강렬하게 표현했다. 1970년 포토 몽타주와 함께 선보였다. 당시 라이프 잡지에 실렸던 달 착륙 장면 사진에 입산금지 간판을 꽂고 쓰레기를 배치하며 당대 사회문제를 예술에 반영했다. 거울방에 설치된 ‘음과 양’(2023)도 연관성 없는 시간, 지역, 사건을 쏘아대는 비디오 화면이 뒤죽박죽 불협화음을 거울 반사로 무한대 확장되는 장면을 펼쳐 보여준다.
김구림, 전자예술 A(1969, 2013년 재제작), 패널에 플라스틱, 전구, 181.6 x 181.6 x 17 cm. <작가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1974년 도쿄국제판화비엔날레 출품작 ‘걸레’를 재연한 입체 판화 작품을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가 설명하고 있다. 일상 얼룩같은 실크스크린 판화를 찍고 그 위에 걸레와 유리컵 등을 올려 2차원 판화 장르의 개념을 전복했다. <이한나 기자>
초기 옵아트를 활용해 전자예술(electric art)을 탐구한 작업 등 그간 책 에서만 봤던 초기작들도 직접 볼 기회다. 1974년 도쿄국제판화비엔날레 출품작은 백화점에서 구매한 식탁보 위에 걸레와 물의 흔적을 실크스크린으로 찍고 그 위에 걸레와 물컵을 배치하는 입체 설치로 파란을 일으켰다.

풍경화를 담은 캔버스 그림 위에 나뭇가지를 달고, 나무가 있을 자리에 그림자를 그려 넣는 식의 작품 ‘풍경’(1987)은 지금 봐도 신선하다.

전시는 내년 2월 12일까지.

김구림, 풍경(1987), 캔버스, 나뭇가지에 채색, 142 x 174 cm. <작가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김구림, ‘음과 양 91-L 13’(1991), 캔버스 위에 아크릴, 낚싯대, 양동이, 213 x 335 cm. <개인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