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에 대처하는 리더의 자세[목멱칼럼]

송길호 2023. 8. 28. 06: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우영 한국기술교육대 기계공학부 교수] 크고 작은 여러 재난 사고가 날 때마다 떠오르는 장면이 있다. 2011년 5월 1일 미국 백악관 상황실의 사진이다. 9·11 테러를 주도했던 알카에다 수괴 오사마 빈 라덴의 제거 작전을 지켜보고 있는 오바마는 정중앙 자리를 군 참모진에게 내어줬다. 그와 함께 있던 참모진 대부분은 간단한 셔츠 차림에 팔짱을 낀 모습이다. 군 통수권자임에도 현장을 지휘하는 실무 책임자에게 전권을 위임한 모습이 전혀 낯설지 않고 자연스럽게 비친 이유는 무엇일까.

2001년 뉴욕에서 발생한 9·11테러 이후 사고를 수습하고 시스템을 혁신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활용 전략이 큰 몫을 했다. 2003년 미국은 배후국으로 지목된 이라크 120만 명의 군대를 단 26일 만에 제압했다. 그러나 이후 이메일과 휴대전화로 통신하는 알카에다 테러 조직은 전혀 제압되지 않았다. 결국 당시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 총사령관이며 특수전 전문가인 스탠리 매크리스털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분산, 분권화된 알카에다를 중앙집중과 효율성에 기반을 둔 미군이 상대하기 어렵다.”

알카에다는 바이러스처럼 갑자기 나타나 유행처럼 퍼지고 신속하게 사라졌다. 네트워크로 운영됐으며, 번개처럼 움직였고, 빠르게 학습했다. 미군은 기존의 전략을 버리고 ‘네트워크를 이기려면 네트워크가 되어야 한다’고 결론을 내리고 새로운 전략을 취하게 된다. 첫째, ‘눈으로는 주시하되 손은 떼는 방식’ 즉 현장 지휘관에게 권한을 위임했다. 둘째, 정보전파 범위를 확대하고 공유의식을 강화했다. 종전 소수의 핵심 인력이 매일 30분간 진행하던 화상회의를 27개국 7500명이 참여하는 90분 회의로 확대했다. 셋째, 일일 회의를 통해 정보와 작전이 광범위하게 실시간으로 융합되면서 수천 명의 조직 전체가 더욱 똑똑해지고, 서로 배우게 됐다. 넷째, 일단 임무가 결정되면 조직 전체가 공유된 목표 달성을 위해 자발적으로 협력하는 문화가 형성됐고, 결국 2004년 월 4건에 불과했던 테러 용의자 제거가 2006년 월 300건으로 급증했고, 2008년 알카에다 총책인 일자르카이를 사살하면서 임무를 완수했다.

디지털 시대, 리더의 역할을 외부 변화에 맞게 적응력을 높이고, 자발적으로 상호협력하는 조직문화로 구축한 의미 있는 사례이다. 이 사례는 ‘딜로이트 컨설팅’ 사에서 지은 ‘일의 미래’에 일부 언급된 내용이다.

9.11 테러가 발생한 같은 시각 플로리다주의 한 초등학교에서 수업을 참관하며 아이들에게 동화책을 읽어 주던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비서실장으로부터 미국이 공격받고 있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전해 듣게 된다. 그는 보고 받은 뒤에도 아이들에게 계속 책을 읽어 주다가 약 7분이 지난 후에야 교실을 떠났다. 이후 조사위원회로부터 “왜 7분 동안 교실에 머물렀냐?”는 질문을 받자 부시는 “그 상황에서 바로 격앙된 반응으로 학생들이나 이를 지켜보던 취재진 등을 당황하게 할 수 없어서 태연한 척했다.”고 말했다.

2017년 다보스포럼의 의제는 ‘소통과 책임의 리더십’ 이다. 왕조시대가 아닌 현대사회에서 ‘책임’의 의미는 무엇일까? 어느 범위까지 누가 책임을 질 것인가, 과연 우리 사회는 책임질 권한이 제대로 주어지는 사회인가. 재난 사고가 발생하면 현장의 상황과 관계없이 항상 대표자, 장관에게 무한 책임을 물어야 하는가.

오늘날 한 국가 또는 사회가 가지고 있는 자원이 한정된 상황에서 모든 상황을 대비하고 완벽하게 대처하고 해결하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국가의 규모가 커지고 정책의 양적 규모가 커지는 현실에서 정부의 비효율성도 증가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경향이다. 상상력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정책을 만들고 수시로 유연하게 맞춤형 실행방안을 수립하는 것은 경영자의 몫이다. 한편으론, ‘눈으로는 주시하되 손을 떼는’ 현장 중심의 권한 위임을 진지하게 논의하고 실행해야 할 때이다. 디지털은 분산과 자율, 분권을 핵심 가치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송길호 (khso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