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와 세상] 다시 광야에서

기자 2023. 8. 27. 20: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의 대학가에서는 노래패들이 활약하면서 민중가요를 양산했다. 동아리 성격의 노래패들은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다양한 노래를 만들고 부르면서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 서울대의 ‘메아리’, 연세대의 ‘울림터’, 고려대의 ‘노래얼’, 성균관대의 ‘소리사랑’ 등이 대표적이다.

그 흐름 속에서 문승현과 대현 형제는 큰 역할을 했다. ‘메아리’ 출신의 형 승현은 ‘그날이 오면’ ‘오월의 노래’ ‘사계’ 등을 만들었다. 또 1980년대 연합 노래모임 ‘새벽’을 주도했고, 노래운동의 중심이었던 ‘노래를 찾는 사람들’의 초창기 리더 역할을 했다. ‘소리사랑’ 출신인 동생 대현은 ‘광야에서’를 만들었다. 1984년, 스물두 살 때였다.

“찢기는 가슴 안고 사라졌던/ 이 땅에 피 울음 있다/ 부둥킨 두 팔에 솟아나는/ 하얀 옷에 핏줄기 있다/ 해 뜨는 동해에서/ 해지는 서해까지/ 뜨거운 남도에서/ 광활한 만주 벌판”.

안치환과 김광석, 윤도현이 불러 더욱 유명해진 이 노래는 “우리 어찌 가난하리오/ 우리 어찌 주저하리오/ 다시 서는 저 들판에서/ 움켜쥔 뜨거운 흙이여”라는 후렴구에 이르면 저절로 피가 끓는 노래다. 1980년대 이후 독재 타도와 호헌철폐, 인권 개선과 통일을 염원하는 자리마다 이 노래가 빠지지 않았다.

문대현은 김광석이 부르고 아이유가 리메이크한 ‘꽃’의 작사·작곡가이기도 하다. 새로운 세기가 열리면서 아이유의 달콤한 목소리가 더 어울리는 시대가 됐다. 그런데 요즘 들어서 부쩍 다시 비바람 몰아치는 광야에 내몰린 느낌이다. 통일은 멀어지고, 인권은 짓밟히고, 생명보다는 돈이 대접받는다. ‘법대로’를 외치는 위정자들은 법을 방패 삼아 제 살길 찾기에 바쁘다. 시대가 힘없는 백성들에게 각자도생을 요구한다. 울분이 차오르는 가슴을 부여잡고, 다시 ‘광야에서’를 목놓아 부르고 싶다.

오광수 시인·대중음악평론가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