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이 나일론을 만든다고?…과학자들이 이토록 매달리는 진짜 이유는 [교과서로 과학뉴스 읽기]
최근 대사공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으로 꼽히는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이 있습니다. 나일론의 원료가 되는 화학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을 개발한 건데요, 넓은 의미에서 이러한 연구를 대사공학이라고 부릅니다. 작은 미생물을 요리 만지고, 조리 만지면서 인류가 원하는, 인류에게 도움이 되는 물질을 만들도록 ‘엔지니어링’하는 것을 뜻합니다.
대사공학, 과연 어떤 학문일까요. 과학 교과서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연구진이 이러한 미생물을 만든 이유는 발레로락탐을 만드는 과정에서 환경 오염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발레로락탐은 석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유해 폐기물이 만들어집니다.
연구진은 세균의 일종인 ‘코리네박테리움’에 발레로락탐을 생산할 수 있는 대사회로를 구축합니다. 포도당을 넣으면 미생물이 이를 소화하는 과정에서 발레로락탐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조종한 것입니다.
이 기술은 DNA를 붙이거나 유전자 조작을 통해 새로운 개체를 만든다고 보시면 됩니다.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대사회로가 있을 텐데요, 아, 대사회로란 쉽게 이야기해 생물의 몸속에서 일어나는 반응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가 밥을 먹었을 때, 밥알이 잘게 부서지면서 위로 넘어가고, 탄수화물이 소화되고, 불필요한 물질은 소변, 대변으로 체외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 역시 대사회로의 한 예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미생물의 대사회로를 설계한 뒤에, 이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디자인한 뒤 실제 생물에 넣어주는 거죠.
즉 미생물이 포도당을 섭취하면, 대사 과정을 거쳐 ‘발레로락탐’이라는 물질을 만들어 내도록 조작을 한 것입니다. 우리는 벌써 이런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생각합니다. A라는 유전자가 있으면 포도당을 잘게 분해할 수 있어. 그리고 B라는 유전자가 있으면 이 포도당을 다른 물질로 전환할 수 있어. 라고 말이죠. 이런 몇 단계를 거치면 포도당이 발레로락탐이 되는 마법이 일어납니다. 물론 이는 쉽게 설명한 겁니다. 그 과정에서 과학자들은 정말 많은 ‘노력’과 함께 ‘삽질’도 했을 것입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전혀 새로운 생물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합성생물학’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연구 분야인데요(대사공학과 비슷합니다), A, G, C, T외에 새로운 염기를 만든 뒤 이를 기존의 염기와 연결해 지구상에는 없던 미생물을 태어나게 한 사례도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런 방식을 활용해 인류에게 도움이 되는 미생물을 만들어내려고 하고 있습니다.
LK-99의 경우는 ‘논문’이 나온 것도 아니고 저자들의 일방적인 주장일 뿐인데도 말입니다. “그들의 주장이 맞을 가능성이 거의 없다”라는 학자들의 지적은 전혀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심지어 ‘매국노’라거나 ‘카르텔’ ‘기존 학자들’이라는 말로 마치 이들을 ‘재야의 고수를 시기하는 기성세대’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많은 과학 성과의 기초를 이해하는 좋은 방법은 과학 교과서를 뒤져보는 일입니다. 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는 지금 이슈가 되는 모든 연구 성과를 조금이라도 이해할 수 있는 원리들이 가득 들어 있습니다. 과학 관련 기사를 접했을 때 이해가 안 갈 때 마다 교과서를 펼치는 이유입니다.
교과서를 열심히 뒤졌지만 나오지 않는 얘기를 이제야 찾았습니다. 과학적 성과는 한순간에 ‘뻥’ 하면서 터지지 않습니다. ‘신소재’가 발견됐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상용화에 다다르기까지는 정말 큰 노력과 시간, 투자가 뒤따릅니다. 그래핀이 발견되고 10년이 지났지만 이제야 조금씩 상용화와 관련된 제품이 나오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혹독한 동료 평가를 거친 수많은 연구 성과가 쌓이고 쌓이면서 단단한 이론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상용화로 연결됩니다.
23일(현지시각) 학술지 ‘네이처’에는 스탠퍼드대 연구진의 놀라운 성과가 실립니다. 뇌졸중과 루게릭병에 걸려 말을 하지 못하는 환자의 뇌에 칩을 이식, 그들의 생각을 언어로 바꾸는 데 성공한 연구입니다. 물론 비슷한 연구는 과거에도 있었습니다. 이번 논문은 오류를 줄이고, 언어 전환 속도를 보다 빠르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대단한 성과죠. 이 정도면 관련 주가 들썩여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연구진은 “아직 이룬 것이 아니다” “증명되지 않았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네이처는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일반화 가능성을 많은 사람에게 지나치게 약속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우리는 아직 거기까지 가지 못했다”라는 발언을 담습니다. 지금 한국의 상황과 견주었을 때 여러모로 시사하는 게 많은 기사였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감쪽같이 당했네”…‘2시간 일하고 5만원’ 호텔숙박 후기 알바, 알고보니 - 매일경제
- 분당 민박집서 성인 남성 4명 숨진 채 발견…경찰, 수사 착수 - 매일경제
- “어린이집 女교사 가슴 너무 커…짜증나는데 자를 수 없나” 황당 문의 - 매일경제
- “밤잠 설치며 공부했는데”…부동산 회복 조짐에도 공인중개사 줄폐업 왜? - 매일경제
- 남편 폐렴으로 사망해 보험금 8000만원 받았더니…사기꾼 몰린 아내 [어쩌다 세상이] - 매일경제
- “롤모델이 청산규리냐”…전여옥, ‘日오염수 비판’ 김윤아 맹비난 - 매일경제
- 한국行은 달랑 306만···2054만 中관광객이 택한 여행지는? - 매일경제
- 30분에 7600원…일본 카페에 등장한 수상한 캡슐의 정체 - 매일경제
- 반성문 벌써 6번 제출한 정유정...전문가들 ‘왜 썼나’ 분석해보니 - 매일경제
- ‘3연속 비자책’ 류현진 “야수들, 실책하고 싶어서 하는 거 아니야” [현장인터뷰]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