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데 넘어갈까”.. 단체급식에 수산물 메뉴 ‘일단 넣어라’ 과연?

제주방송 김지훈 2023. 8. 26. 15: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30일 급식업계 간담회 ‘소비 확대 요청’ 예상
“대량 소비처 활용” 차원 ↔ “소비자 불안 여전”
급식업계, 고객 안심 우선.. 안전성 검사 강화키로
지자체 교육당국 등 수산물 등 방사능 검사 확대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로 인해 일본산 수산물 기피는 물론, 우리 수산물 등 소비까지 위축될 우려가 불거지면서 정부가 주요 민간 급식 공급업체를 만나 수산물 소비 확대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식자재를 대량 구매하는 단체급식 업계가 수산물 메뉴를 확대하면 어업인과 어촌 경제 피해를 최소화할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행보로 보이지만, 정작 소비처인 고객사 입장을 감안할 때 얼마나 실질적 효과를 낼 지는 불투명하다는 시각도 제기됩니다.

오늘(26일) 관련 업계와 관계부처, 정치권 등 소식에 따르면 국민의힘 ‘우리 바다 지키기 검증 태스크포스(TF)’와 해양수산부, 수협중앙회 등이 30일 급식업체와 간담회를 개최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현재 CJ프레시웨이, 아워홈, 삼성웰스토리, 현대그린푸드 등이 참석 여부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해수부와 수협 등은 간담회에서 각 업체와 수산물 활용 확대 방안을 논의하고, 이와 관련해 업무협약(MOU) 체결 방향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앞서 수협중앙회의 경우 지난 2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HD현대, 현대그린푸드와 함께 ‘어업인 지원·어촌 경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전국사업장에서 운영하는 사내식당에서 수산물을 활용한 메뉴를 늘리기로 한 바 있습니다.

업계에선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수산물 소비가 급감했던 것을 감안해, 우선 소비 촉진을 독려하는데 초점을 맞춘 정책 행보로 풀이하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사고 때, 국내 어업 생산량과 생산액이 2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통계청 국가통계 포털을 보면 2011년 국내 어업 생산량은 325만 6,000톤(t)으로 전년 대비 4.7% 늘었지만, 이듬해 2012년 감소세로 돌아서 2.2% 줄고 2013년 1.5% 감소했습니다.

또 어업 생산액도 2011년 8조 729억 원으로 전년 대비 8.7% 늘었던게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2012년 4.8%, 2013년 6.0% 2년 연속 줄었습니다.

올 상반기 어업 생산량은 233만 9,000t으로 지난해보다 0.4% 늘고 어업 생산액은 4조 6,492억 원으로 1.7% 증가했지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시작되면서 수산물 소비 위축과 함께 국내 어업 생산 감소 우려가 커지는 실정입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앞서 지난 4월 소비자시민모임이 국내 소비자 52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선 응답자 92.4%가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수산물 소비자를 줄이겠다’를 의사를 밝히기도 했습니다.

정부는 지난 7월에도 급식업계는 물론 관계부처, 유관기관 등 간담회를 갖고 수산물이 안전하다는 홍보와 함께 일선 현장의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관련해 단체급식 업계에선 수산물 메뉴 확대 계획 등에 대해 내부 논의는 진행 중이지만 구체적인 방향에 대해선 결정된게 없다는 입장들을 내놓고 있습니다.

정부 정책 방향도 중요하지만, 일본의 방류가 시작된 상황에서 우리 수산물을 써도 수산물에 대한 불안감이 가라앉지 않은 상황에선 고객사 항의가 속출할 우려가 높은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우선, 수산물 메뉴를 확대하는 등 조치가 취해진다해도 당장 수급 문제가 불거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업체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적어도 3~4개월분 정도 비축분을 활용한다면 가격 변동이나 물량 조달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정부의 소비 확대 등 요구 수위를 봐야 알겠지만, 어느 정도로 대응해야할 지는 아직 판단할 단계가 아니”라고 전했습니다.

또 “자칫 수산물 메뉴를 늘린다는게 오해나 불안을 증폭시킬 소지도 다분해, 앞서 비축분 활용을 포함한 안전성 검사 강화와 대책 방향에 대한 소비자들과 공유가 제대로 이뤄져야할 것”으로 전했습니다.

관련해 급식업계도 오염수 해양 방류에 따라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자체 수산물 방사능 검사를 강화할 계획입니다.

또 제주 등 전국 지자체와 교육당국에서도 대책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원산지 표시 감시 강화를 비롯해 등록된 학교급식 수산물 공급업체 등에 대한 수산물 방사능 검사 강화와 공개 방침 등을 통해 수산물 급식재료 등에 대한 불안감을 덜어낸다는 복안입니다.

JIBS 제주방송 김지훈(jhkim@jibs.co.kr) 기자

Copyright © JI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