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게·새우·전어 철 다가오는데…다 버리게 되는 건 아닌지”

전지현 기자 2023. 8. 25. 21:0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관악구 전통시장 ‘40년 수산물 가게’의 한숨
일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전날
인천서 꽃게 떼오려다 그만둬
방류날 손님들은 “먹어도 되나”
안 팔리는 전어·참조기 25일 서울 관악구 한 전통시장에서 40년 가까이 수산물 가게를 하고 있는 정인천씨(가명)의 매장 진열대에 전어와 참조기 등이 진열되어 있다. 전지현 기자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기 하루 전날인 지난 23일 오후 7시. 서울 관악구의 한 전통시장은 한산했다. 수산물 가게 모퉁이에서 사장 정인천씨(64·가명)는 휴대폰만 들여다보고 있었다. 원래였다면 꽃게가 있어야 할 가판대는 텅 비어 있었다.

“인천에서 꽃게를 가지고 오려다가, 내일 오염수를 방류한다기에 두려워서 못 가지고 왔어.” 정씨가 아쉽다는 듯 말했다. 집에서 새벽 3시반쯤 나서 서울 노량진이나 인천 등에서 그날그날 생물을 떼오는 일은 40년 가까이 수산물 가게를 꾸려 온 정씨의 일과였다. 이 때문에 함께 가게를 운영하는 부인 김영희씨(61·가명)에게 한소리를 들어야 했다. “마누라가 그러더라고. ‘어찌 꽃게를 안 사가지고 왔소. 방류는 내일 한다고 하던데. 사람들은 사다가 냉장고에도 넣어놓고 판다고도 하던데.’” 정씨는 그저 “비도 오고 영 마음이 안 끌려서 몇번 생각하다가 그냥 왔다”고 대꾸했다.

오염수 방류 뉴스가 나올 때마다 매출은 반토막씩 났다고 했다. 소비심리는 이미 얼어붙어 있어 ‘이보다 더 손님이 떨어질 수 있을까’ 싶으면서도 정씨는 상황이 더 안 좋아져도 버틸 각오를 다 마친 상태라고 했다. 그는 “사람들이 안 사가서 다 버릴 바엔 오늘처럼 떼오는 생물 양을 줄일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한동안 힘들겠다고 하는 정씨의 말투엔 체념조가 짙게 배어 있었다. 정씨의 깊은 한숨과 무관하게 일본은 예고한 대로 지난 24일 후쿠시마 제1원전의 방사능 오염수를 방류하기 시작했다. 이튿날인 25일 가게를 다시 찾았다. 이날은 부인 김씨가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오염수 방류 당일 김씨가 손님들로부터 가장 많이 들은 말은 “지금 이거 먹어도 괜찮냐”였다고 했다. “아직 우리 바다에 오지도 않았다”고 말해봤지만 “오늘만 사 가고 앞으로는 안 먹어야겠다”는 손님들의 말에는 달리 할 말이 없었다.

수확량 줄었는데 엎친 데 덮쳐
아무도 못 막는다는 게 말 안 돼
가자미 경매가 ‘반토막’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이틀째인 25일 강원 양양군 남애항 수협 위판장에서는 가자미 경매 가격이 전날 20마리 8000원에서 4100원으로 폭락하는 등 수산물 거래가 위축되고 있다. 연합뉴스

수산물 상인들에게 무덥고 습한 여름은 원래 비수기다. 가뜩이나 비수기에 전해진 오염수 방류 소식은 이들에게 엎친 데 덮친 격이다. 김씨는 “시장 임대료도 보험료도 내야 하는데 걱정”이라며 “곧 철이 다가오는 꽃게·새우·전어 상인들도 걱정이 크더라”고 했다. 이날 매대에는 이틀 전과는 달리 꽃게가 있었다. 김씨는 “오염수는 오염수고, 일단 꽃게를 찾는 사람들이 있으니까 들여놨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다 버리게 되는 게 아닌지”라며 걱정했다.

이들 부부는 가게 상황이 이미 한 해가 다르게 힘들어지고 있던 중이라고 했다. 그는 불경기라거나, 손님들을 대형마트나 새벽배송에 빼앗겼다는 이유보다도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서 물고기 어종이 많이 없어졌다”는 얘기부터 꺼냈다. 김씨는 “오징어도 수확량이 반토막 났고, 우리 바다에서 안 잡히기 시작한 종이 셀 수 없이 많다”고 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수십년간 바다의 산물을 가져와 파는 일을 한 부부는 ‘바다가 점점 이상해진다’는 것을 체감하고 있었다. 이어 “나와 아내는 장사를 할 날이 얼마나 남았겠느냐마는, 누가 새로 수산업이나 장사한다고 하면 반대할 생각”이라고 했다. 이미 위험신호를 보내고 있는 바다에 오염수를 30년씩이나 방류한다니, 이들 부부에게는 걱정스러운 결정이 아닐 수 없다고 했다.

김씨는 “아무리 안전하다고 해도 한두 해도 아니고 30년을 붓는다는데, 이걸 정부고 국회의원이고 막는 사람이 없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되물었다. 그는 “걱정하는 건 당연한 일”이라며 혹시나 찾아올 손님을 기다렸다.

전지현 기자 jhy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