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하의 '그런데'] 옷이 아니라 마음의 문제
'잘 입은 거지는 얻어먹어도, 헐벗은 거지는 못 얻어먹는다.'
옷차림이 깨끗해야 남에게 대우를 받는다는 뜻이죠. '옷이 날개'라는 속담처럼 옷은 아름다움을 더하기도 하고, 사람의 지위나 개성을 드러내기도 합니다.
행정안전부가 지난 8일, 민방위복을 청록색으로 통일하라는 규정이 담긴 '민방위기본법 시행규칙'을 공포했습니다.
당장 공무원들 사이에선 멀쩡한 옷을 두고 왜 민방위복을 교체하지? 세수가 부족하다고 국가 R&D 예산까지 깎는 정부가 왜 이런데 돈을 쓰지? 라는 물음과 불만이 터져 나왔죠.
통상 공무원들은 춘추복과 하복 등 2벌의 민방위복을 준비하는데, 지난해 국가 지방 공무원 수 117만 명에게 나눠주려면 600억 원 안팎의 예산이 소요되거든요.
정부는 의무가 아니다, 기존 민방위복도 착용이 가능하다, 구매를 강요한 적 없다고 했지만, 상명하복을 중시하는 공직사회에서 윗사람은 신형 청록색 민방위복을 입고 있는데, 아랫사람은 기존 노란색을 입고 있다면 불편하지 않을까요.
"내가 살 테니까 아무거나 먹고 싶은 거 시켜, 그런데 난 자장."
어디서 많이 듣던 우스갯소리죠.
"안 사도 돼, 강요하는 거 아니다. 그런데 난 입었다."
뭐가 다르죠.
- 영화 '상의원' (2014) "옷에는 예의와 법도 그리고 계급이 있어야 하는 것일세"
조선시대 왕실 의복을 만들던 상의원 얘기를 담은 이 영화는 사람의 옷이 단순한 의상이 아니라 자신을 표현하는 자존감이자 소통 수단이라는 걸 강조합니다.
신형 민방위복을 선정하려면 먼저 공무원들이 샘플을 입어보게 하고, 색깔이나 디자인이 어떤지 폭넓게 의견을 듣는 게 순리죠.
더구나 노무현 정부 때부터 18년간 입어 온, 긴급상황과 재난구호를 상징하며 눈에 잘 띄는 기존 노란색 대신 보호색인 청록색이라니,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등장인물 같다는 말까지 나옵니다.
물론 새 정부가 들어섰으니 긴급상황 때 입는 옷부터 바꿔 면모를 일신하고픈 취지는 이해합니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건, 노란색이든 청록색이든, 위기에 나 몰라라 하지 않고 헌신하는 공직자의 자세가 아닐까요?
아무리 옷이 날개라지만, 사람이 일을 하지, 옷이 일을 하는 건 아닙니다.
김주하의 그런데, 오늘은 '옷이 아니라 마음의 문제'이었습니다.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김현숙 불참 속 여가위 파행…김관영 ″정쟁 멈추고 불러 달라″
- 10월 2일 임시공휴일 추진…6일 황금연휴 완성되나
- 씨엔블루 콘서트 개최, 무려 6년 만에 10월 팬들 만난다
- ″마지막으로 회 먹으러 왔어요″…어시장 축제에 손님 불안, 상인 불만
- ″또 태풍 오나?″...태풍 사올라 위력 '매우 강'으로 상승
- 최윤종 ″우발 범행·살해 고의 없었다″…취재진 보고 ″우와″
- 무면허 상태로 운전하고 도로에 대자로 누워있던 남성…차에선 필로폰이?
- ″노무현+욱일기″…서현역 흉기난동범 최원종 카톡 프사 공개
- ″굴욕적이었다″ 코코 리가 세상 떠나기 전 출연한 중국 TV 프로그램 보이콧
- ″종이 빨대, 친환경 아니라고?″...플라스틱만큼 해로울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