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욱경이 만난 낯선 미국, 강렬한 드로잉으로 만나다

김슬기 기자(sblake@mk.co.kr) 2023. 8. 25. 18:1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갤러리 부산 최욱경 개인전
60년대 몰두한 흑백회화 34점
인체드로잉·시집 삽화 최초 공개
‘무제(AM I AMERICAN)’ [국제갤러리]
최욱경(1940~1985)의 미국생활은 ‘뿌리를 흔드는 경험’이었다. 1963년 서울대 회화과 졸업 후 변화를 꿈꾸며 미국 크랜브룩 미술대학으로 유학을 떠난 작가는 잉크, 연필, 차콜, 콩테, 판화 등 다양한 매체를 접하고 탐구했다. 한국에선 단순한 연습이라 생각했던 드로잉에 동료들이 몰두하는 걸 보고 충격을 받았다.

“그때 정말 많이 그렸다”고 할 만큼 2년을 매달리니 졸업 무렵엔 ‘아, 이것이 그거구나’ 하는 깨달음이 왔다. 끝없는 수련으로 독자적 추상문법을 찾았던 최욱경의 ‘미국 시대’를 풍성하게 만날 수 있는 전시가 찾아왔다.

국제갤러리 부산에서 25일부터 10월 22일까지 한국 추상회화의 대표작가 최욱경의 개인전 ‘낯설은 얼굴들처럼’이 열린다. 부산의 첫 개인전으로 2년전 개인전과 달리 강렬한 흑백 작업으로만 채워졌다. 흑백 드로잉 및 판화 26점과 크로키(인체 드로잉) 8점을 소개한다.

개막일 부산에서 접한 이 희귀한 드로잉들은 작가만의 유머를 기반으로 때론 직설적인 제목이 붙여졌던 추상화들과 달리 일기장 속 미완의 이야기들을 엿보는 듯 했다. 표현은 대범하고 솔직하지만, 작가의 외로움이 묻어났다.

1960년대 대가들의 영향을 받은 흔적도 엿보인다. 추상으로의 진행은 윌렘 드 쿠닝, 여성 누드 크로키는 고깃덩이처럼 묘사되어 프란시스 베이컨을 연상시키고, 화폭 위 검은선은 로버트 마더웰을 떠올리게 한다. ‘무제(AM I AMERICAN)’(1960년대)에서는 ‘나는 미국인인가?’는 질문을 통해 작가가 이방인으로 낯선 땅에서 작업하며 정체성의 혼란을 느꼈음을 엿볼 수 있다.

이 시기 작가가 가장 자유로울 수 있는 매체로 찾아낸 것은 시와 드로잉의 언어였다. 전시 제목 ‘낯설은 얼굴들처럼’은 최욱경이 1972년 미국 체류 중 잠시 한국으로 돌아왔을 때 출간한 시집 제목. 유학 시절에 쓴 45편의 시와 16점의 삽화가 실린 시집은 타국의 생경한 환경과 쓸쓸함 등을 담아냈지만, 삽화는 거침없고 실험적이다. 이 삽화 중 ‘습작’ 등 6점도 만날 수 있다. 크로키와 삽화 대부분이 처음 공개된다.

가장 눈길을 끄는 작품은 비판매작인 인물화 ‘무제’다. 자화상일 것으로 짐작되는 작은 그림은 시집 표지로 그린 자화상보다 한층 더 실험적이다. 이목구비가 해체됐고, ‘나는 네가 뭘 하는지 알수 없다. 너를 싫어해 도와줄 수 없다’는 문구가 적혔다. ‘진주 귀고리 소녀’처럼 여성은 무표정하게 정면을 응시한다. 마치 낯선 얼굴을 쳐다보는 것처럼.

‘무제(I don‘t know what your doing)’ [국제갤러리]
자화상을 표지로 그린 최욱경 시집 ‘낯설은 얼굴들처럼’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