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의금 3만원 낸 취준생, 욕먹고 손절당했다…"돈 돌려줄게, 연락하지마"

김학진 기자 2023. 8. 25. 11: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년에 한 번 볼까 말까 한 사이는 3만 원 내고 불참.

최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제가 취준생이라 친구 결혼식 가서 축의금 3만원 냈는데 잘못한 건가요?'라는 글이 게재됐다.

또 "기분이 나빴다. 그래서 친구에게 '내가 직장인도 아니고 한 푼이 아쉬운 상황이라 어쩔 수 없었다. 전화로 따질 정도의 문제는 아니지 않냐'라고 했더니, '3만원 돌려줄 테니까 계좌번호 문자로 보내고 다시는 연락하지 마라' 하더라"라고 토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얼굴 비친 것만으로도 고마운 일"vs"최소한의 예의는 지켜야"
ⓒ News1 DB

(서울=뉴스1) 김학진 기자 = 1년에 한 번 볼까 말까 한 사이는 3만 원 내고 불참. 친분 있는 직장동료는 10만 원. 웃는 얼굴로 욕까지 주고받을 수 있는 친구는 20만 원.

축의금은 대체 얼마를 하는 게 정답일까?

최근 친구의 결혼식에 찾아가 축의금 3만원을 내고 식사를 하고 온 취준생이 친구에게 손절당했다고 하소연했다.

최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제가 취준생이라 친구 결혼식 가서 축의금 3만원 냈는데 잘못한 건가요?'라는 글이 게재됐다.

작성자 A씨는 "지난주 친구 결혼식이었는데, 취준생이라 3만원을 내고 왔다"라고 운을 뗐다.

A씨는 "근데 방금 친구가 전화로 '3만원은 좀 너무한 거 아니냐. 네가 먹은 밥값이 3만원보다 더 비싸다'라고 하더라"라고 말했다.

이어 "신혼여행을 다녀온 뒤 축의금 장부를 확인한 후 전화를 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 "기분이 나빴다. 그래서 친구에게 '내가 직장인도 아니고 한 푼이 아쉬운 상황이라 어쩔 수 없었다. 전화로 따질 정도의 문제는 아니지 않냐'라고 했더니, '3만원 돌려줄 테니까 계좌번호 문자로 보내고 다시는 연락하지 마라' 하더라"라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A씨는 "만약 내가 결혼하는 입장이라면 친구가 그 상황이 취준생이었다면 축하해 주러 오기만 해도 고마울 거 같다. 나의 잘못이고 실수인 거냐"라고 물었다.

사연을 접한 대분의 누리꾼들은 "취준 생활을 안 겪어 보셨는가요", "얼굴 비친 것만으로도 고마운 일 같다", "적게 줘도 와주면 그저 고맙던데. 저렇게 전화로 면박 줄 일은 아닌 듯", "결혼식이 수금하는 자리냐", "처음부터 초대하지를 말았어야", "결혼식에서 장사 냄새가 나네요"라면서 결혼한 친구의 행동이 과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힘들어서 3만원 할 수 있지만 밥은 안 먹고 갈 것 같다", "적어도 5만원은 했어야한다", "손님이라면 지켜야 할 기본 예의가 있는 법" 이라는 의견들도 보였다.

khj80@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