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해인사·순천 송광사 등 사찰 6곳의 일주문, 보물된다

김예나 2023. 8. 25. 09: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 합천 해인사, 전남 순천 송광사 등 주요 사찰에 들어설 때 처음 만나는 일주문(一柱門)이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전국 사찰의 일주문 50여 건을 조사해 심의한 결과 '합천 해인사 홍하문'을 비롯한 일주문 총 6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라고 25일 예고했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일주문은 합천 해인사 홍하문, 함양 용추사 일주문, 곡성 태안사 일주문, 하동 쌍계사 일주문, 대구 달성 용연사 자운문, 순천 송광사 일주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화재청, 조사 거쳐 지정 예고…사찰 들어서며 만나는 첫 건축물
효령대군 흔적에, 화마 피하고…당대 건축양식 반영한 문화유산 평가
합천 해인사 홍하문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경남 합천 해인사, 전남 순천 송광사 등 주요 사찰에 들어설 때 처음 만나는 일주문(一柱門)이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전국 사찰의 일주문 50여 건을 조사해 심의한 결과 '합천 해인사 홍하문'을 비롯한 일주문 총 6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라고 25일 예고했다.

일주문은 사찰로 들어가는 출입구이자 사찰이 시작되는 영역을 표시하는 정문이다.

합천 해인사 홍하문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일주문은 합천 해인사 홍하문, 함양 용추사 일주문, 곡성 태안사 일주문, 하동 쌍계사 일주문, 대구 달성 용연사 자운문, 순천 송광사 일주문이다.

팔만대장경을 봉안한 법보사찰(法寶寺刹) 해인사의 홍하문은 정확한 창건 연대를 알 수 없으나, 1457년 중수(重修·건축물의 낡고 헌 부분을 손질하며 고침)했다는 기록이 전한다.

정면 1칸의 건물로, 옆에서 보면 'ㅅ'자 형태인 맞배지붕을 올렸다.

함양 용추사 일주문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맞배지붕을 한 일주문은 정면에서 볼 때 하중을 받치기 위해 대는 부재인 공포를 5개 두는 게 일반적이나, 홍하문은 6개의 공포를 올려 상대적으로 웅장한 느낌을 준다.

함양 용추사 일주문은 함양 용추계곡 일대에 있었던 옛 장수사의 일주문이다.

1711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6·25전쟁 당시 화재로 모든 전각이 소실됐을 때 유일하게 화를 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는 장수사의 암자였던 용추사 일주문으로 쓰고 있다.

곡성 태안사 일주문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곡성 태안사 일주문의 경우, 조선 후기의 건축 기법을 잘 보여주는 건물로 평가받는다.

건물의 내력을 알 수 있는 상량문에 의하면 1521년 '조계문'(曹溪門)으로 창건됐으며, 상량문에는 태종(재위 1400∼1418)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1396∼1486)의 서명 흔적이 남아있다.

주 기둥 안쪽에 있는 용두(龍頭) 장식이 화려해 문화적 가치도 높다.

하동 쌍계사 일주문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하동 쌍계사 일주문은 1641년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대웅전으로 이르는 일직선상의 축에 따라 일주문, 금강문, 사천왕문 등의 전각을 건립한 산지 가람배치 형식이 잘 보존돼 있다"고 평가했다.

달성 용연사로 들어서는 첫 산문(山門)인 자운문은 1695년 창건됐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당초 명칭은 '일주문'이었으나 1920년 촬영한 사진 자료에는 '자운문'으로 돼 있어 이전에 명칭이 변경됐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달성 용연사 자운문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승보사찰(僧寶寺刹·훌륭한 스님을 가장 많이 배출해 얻은 명칭) 순천 송광사의 일주문은 조선 후기 화마를 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화재청은 "조계산송광사사고(曹溪山松廣寺史庫) 등에 따르면 일주문은 1842년 큰 화재로 대부분 전각이 불탔을 때 살아남았으며, 1802년 이전부터 존재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일주문 정면에는 '조계산대승선종송광사'(曹溪山大乘禪宗松廣寺)라는 현판이 세로로 쓰여있다.

기둥 양쪽이 토석 담장과 연결되고, 보조 기둥을 둔 점, 기둥 안쪽에 용두 조각을 둔 점, 전면 계단의 옆에 있는 소맷돌에 동물상을 뒀다는 점에서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순천 송광사 일주문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문화재청은 최근 사찰 일주문의 문화적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2021년까지는 '부산 범어사 조계문'이 유일하게 보물로 지정돼 있었으나, 이후 연구·조사를 거쳐 지난해 순천 선암사 일주문 등 4건을 지정한 바 있다.

문화재청은 예고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해인사 홍하문 등 6건에 대한 지정 여부를 확정할 예정이다.

하동 쌍계사 일주문 [문화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