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주담대’ 소동은 은행탓? 당국탓? [핫이슈]
“DSR 우회 안돼” 은행에 경고하지만
은행권 처음 도입할 때 문제삼지 않아
미국보다 훨씬 낮은 기준금리도 원인
집값 떨어질때 피해는 소비자들 몫
이 상품을 가장 먼저 내놓은 것은 올해 초 Sh수협은행으로, 주담대 최장 만기를 기존 40년에서 50년으로 연장했다. 이후 시중은행들도 지난 7월부터 50년 만기 주담대 상품을 잇따라 출시했다. 문제는 부동산시장 분위기와 맞물려 대출이 너무 빠른 속도로 증가한 것이다. 5대 은행이 지난 7월 출시해 지난 21일까지 취급한 50년 만기 주담대는 2조5000억원에 달한다.
개인들이 이 상품에 몰린 이유는 기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적용받을 때보다 더 많은 금액을 대출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똑같은 돈을 빌리더라도 만기를 50년으로 설정하면 40년일때와 비교해 매달 갚아야 할 원리금 부담이 줄어들고, DSR 하에서도 대출한도가 증가하게된다. 집값이 떨어질때는 굳이 이렇게까지 하면서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많지 않지만, 7월부터 아판트 청약열기가 달아오르고 미국발 금리인상 행진이 멈출 것이라는 기대도 커지면서 대출수요가 폭발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예상치못한 가계부채 증가세에 당황한 금융당국은 최근 50년 주담대에 대한 경고를 쏟아내고 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 16일 50년 만기 주담대에 연령제한을 검토하겠다고 언급했고, 이복현 금감원장도 같은 날 “은행들이 주담대 산정에서 DSR 관리가 적정했는지 점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근 집값이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마음이 급한 소비자들은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대출 상품을 몇달만에 없애거나 나이 제한을 두면 대출을 믿고 계약하려던 주택 구매를 어떻게 하냐는 것이다. 은행들도 나름대로 억울한 부분이 있다. 상품을 처음 출시할때 문제를 제기하지 않던 당국이 은행들에 책임을 떠넘기고 뒤늦게 규제를 가한다는 볼멘 목소리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한은의 통화정책이 근본 원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국내 기준금리는 3.5%로, 미국보다 2% 포인트나 낮다. 금리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보니 개인들이 경기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무리하게 대출을 일으키고 있다.
누구의 책임이 더 크다고 단정짓기는 어렵지만, 분명한 사실은 집값이 떨어질 경우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들의 몫이라는 것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자궁에 귀신 붙었다”…좁은방서 여성 앉혀놓고 40대男이 한 짓 - 매일경제
- “집 사는거 상당히 조심해야” 한은총재가 경고한 근거는 - 매일경제
- “청소만 잘해도 월 900만원 법니다”...김과장 퇴근길에 찍고 간 곳은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무려 4시간 ‘그 짓’ 하던 카페 변태男…결국 자수 - 매일경제
- “이거 실화냐?”…1채당 990만원, 18채가 동시 거래된 이 동네 - 매일경제
- 같은 시골인데…당진은 원룸까지 꽉차, 반월공단은 ‘텅’ 무슨 차이? [르포] - 매일경제
- “유사 성행위까지 생방송”…태국서 ‘나라망신’ 유튜버, 구속 기소 - 매일경제
- ‘갤럭시’ 떼고 ‘삼성’으로…Z플립·폴더5, 일본 전략 바꿨다 왜? - 매일경제
- 최악도 이런 최악이…“애써 벌어도 쓸돈 없다” 집마다 아우성 - 매일경제
- 오타니, UCL 파열 진단...남은 시즌 투수 등판 없다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