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발병, 극저소득층 57% 더 위험
국내 당뇨병 발병 양상이 소득 수준과 밀접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오랜 기간 극저소득층인 사람의 당뇨병 발병 위험은 지속해서 고소득층인 사람보다 최대 5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수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 남가은 고대구로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소득 수준의 변화와 당뇨병 발병 사이에 이 같은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이용해 2012년 당시 제2형 당뇨병이 없었던 30~64세 성인 782만1천227명을 2019년까지 추적 관찰했다.
수준의 변화에 따라 ▲의료급여그룹(극저소득 그룹) ▲지속적인 저소득 그룹 ▲소득 증가 그룹 ▲소득 감소 그룹 ▲지속적인 고소득 그룹으로 나눠 평균 5년 동안 그룹별 당뇨병 발병 위험도를 평가했다. 소득 수준 변화에 대한 평가는 매월 납부하는 국민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했다.
연구 결과 그룹별 당뇨병 발병 위험은 5년 연속 극저소득인 그룹이 가장 높았고, 5년 연속 고소득인 그룹이 가장 낮았다.
5년 동안 저소득 그룹에 머물렀던 사람의 당뇨병 발병 위험은 저소득 그룹에 한 번도 포함되지 않았던 사람에 비해 2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극저소득 그룹에서는 동일한 비교 조건에서 당뇨병 발병 위험이 57%까지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에서는 5년 동안 소득 감소 횟수가 많을수록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연관성도 관찰됐다. 반면 같은 기간 소득이 증가한 그룹에서는 초기 소득 수준과 상관없이 당뇨병 발병 위험이 낮아졌다.
연구팀은 저소득층에서 재정적 어려움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건강에 해로운 습관이 생기기 쉽다는 점을 이런 분석이 나온 배경 중 하나로 분석했다. 재정적 어려움을 많이 겪을수록 담배를 피우거나 신체 활동이 부족해지는 등의 건강 유해 습관을 지닐 확률이 높다는 설명이다.
음식 소비에서도 섬유질이 풍부한 영양 식품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칼로리 및 지방 함량이 높은 식품의 섭취가 많고,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감소로 정기 건강검진이나 적절한 치료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평가다.
연구팀은 "우리나라의 객관적인 소득 지표인 국민건강보험료를 이용해 소득 수준과 그 변화에 따른 당뇨병 발병 위험을 처음으로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며 "향후 소득 수준에 따른 당뇨병 발병 위험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의학협회 국제학술지(JAMA Network Open) 최신호에 발표됐다.
김건주 기자 gun@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대권 행보 ‘먹구름’...한동훈 "사법부 결정에 경의"
- 인천 부평구 아파트 분리수거장서 초등학생 폭행한 고교생 3명 검거
- [속보] 김동연, 이재명 1심 선고 관련 “사법부 판단, 매우 유감”
- 차량과 기둥 사이 끼인 60대 여성 숨져…전진 기어 넣고 하차
-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1심서 징역1년·집유2년…의원직 상실형
- 수능 다음날... 평촌·분당 학원가 '썰렁' [포토뉴스]
- 경기도.평택시 노사민정 “기후위기·탄소중립 선제 대응해야”
- “교육발전특구, 파프라카”…파주교육지원청, 올해 5대 뉴스 발표
- 경기동부보훈지청, 재가보훈대상 어르신들과 ‘소확행 나들이’
- 게임서 만난 중학생과 성관계한 20대 검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