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전쟁나면 누가 이길까···남북 군사력 100대 97[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핵무기 포함시, 北 1.6대 1로 우위
“삐삐삐삐 삐삐삐삐”
지난 21일 공군에 비상이 걸렸다. 비상대기실에는 북한 군용기의 영공 침범을 알리는 신호음이 요란하게 울렸다. 대기 중인 조종사들은 발빠르게 전투기에 올라타 긴급 출격했다. 전국 각지의 비행단에서도 다양한 공중전력이 잇따라 출동했다. 5세대 전투기 F-35A를 비롯해 F-15K, KF-16, FA-50 등 10여 대의 전투기가 원거리에서부터 적기를 격추해 나갔다.
방공관제대대와 미사일방어대대의 작전요원들도 분주히 움직였다. 적기와 순항미사일이 동시에 포착되자 레이다 장비를 통해 순항미사일의 경로를 추적하고, 대공방어요원들은 신궁과 천궁 등을 통해 적기를 추적·요격했다.
이날 0시를 기해 시작된 한미 연합연습인 ‘을지 자유의 방패’(UFS) 포문을 적 항공전력의 복합 침투에 대응하는 ‘방어제공훈련’(DCA)이 연 것이다. 23일에는 오후 2시부터 20분간 공습경보 상황 등을 가정한 훈련사이렌이 실제로 울려 2017년 이후 6년만에, 서울시 외에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민방위훈련을 실시했다. 훈련은 공습경보 15분, 경계경보 5분, 경보해제 순으로 20분간 이뤄졌고 시민은 신속하게 민방위 대피소로 이동해 대응했다.
시나리오이지만 앞으로 21일부터 31일까지 남한 전역에서는 북한과의 전면전에 대응하고자 작전계획 시나리오(일명 ‘작계5027’)에 따라 전쟁 대비 실전과 같은 연합훈련에 돌입한다. 다만 이번 훈련은 방어에 중점을 둔 액션플랜 이지만, 북한이 진짜 도발한다면 어떻게 될까.
북한의 도발 수준이 전면적 징후라고 판단되면, 한미연합군사령부 사령관이 작전지휘권을 갖고 ‘H아워’(H-hour·전쟁 개시 시점)를 선언한다. 동시에 군의 작전은 평시에 전시 대비로 전환한다. 곧바로 한미연합군사령부 예하 공군구성군사령부 지시로 ‘F아워’(F-hour·공군기 탄약이 목표를 타격하는 시간) 발령해 국민과 아군 전력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전쟁을 빠른 시일 내에 끝내기 위해 공세적으로 나서 북한 군 지휘부와 주요 부대에 대한 선제 타격을 시작하며 전면전에 나설 것이다.
물론 한반도에 또다시 전쟁 포비아가 엄습하면 안된다. 이를 위해 북한의 위협에 군사대응을 강화하기 위한 한미 간 확장억제 프로세스도 촘촘하게 구축돼 있어 당장은 큰 걱정거리는 아니다. 다만 만약에 한반도에서 남북 간 전쟁이 다시 발발한다면 우리 국군의 군사력은 북한 조선인민군의 도발을 충분히 제압할 수 있을까. 남북한 군사력 현황에 대한 궁금증을 살펴봤다.
1950년 6월 25일 일요일 새벽, 북한이 암호명 ‘폭풍 224’ 작전 계획에 따른 기습 남침으로 동족상잔의 비극 6.25전쟁이 발발했다. 북한군이 세계 최강 전차로 불리던 소련제 T-34 중형전차 242대를 앞세워 침공 3일 만에 서울이 점령되고, 한 달 만에 낙동강 전선만 남기고 모두 적화되는 풍전등화의 위기 속에 빠졌다.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나지 얼마 안 된 남한으로서는 러시아의 지원을 받은 북한과 비교하면 군사력이 형편 없는 상황이다. 당시 한국군은 탱크·자주포, 전투기·폭격기·공격기가 한 대도 없었다. 국민성금을 모아 미국서 갓 도입한 전함, PC-701 백두산함 1척뿐인 정도로 세계에서 가장 허약한 군대였다. 병력은 8개 사단 약 9만 명에 불과했고 훈련 한번 제대로 하지 못한 게 상태다. 사실상 아시아 최약체 군사력이다.
반면 북한 군사력을 살펴보면 남북의 수준은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싸움이라고 할 수 있다. 개전 당시 북한군 기갑전력은 소련제 다목적 경 자주포 SU-76M 150대, BA-64B 장갑차 54대 등을 보유해 아시아 최강이다. 북한 병력은 소련군을 통해 사단급 훈련까지 끝낸 막강 전력을 자랑한다. 규모도 남한의 2배인 약 18만 명에 달한다.
전쟁이 벌어지면 가장 중요한 제공권은 북한의 장악했다. 한국은 이름 뿐인 공군이다. 보유 항공기 16대 중 연락기가 13대, T-6 훈련기가 3대에 불과했다. 숙련된 조종사 또한 39명에 그쳤다. 하지만 북한군은 소련제 전투기 약 132대, 수송기 약 30대를 보유해 했다. 한국전쟁 발발 초기부터 공군 전력이 현저히 밀리면서 북한이 빠른 속도로 남한 지역을 점령했다. 유엔군이 8월 낙동강 방어선을 형성, 반격할 때까지 한국군이 2개월을 버틴 자체가 기적이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였다.
그러나 정전 70년을 맞는 2023년, 한국군의 군사력은 180도 달라졌다. 세계 최강 전력의 K2 흑표전차, K9 자주포, FA-50 전투기를 수출하며 세계 방산 수출 9위로 올라설 만큼 군사 강국으로 도약했다.
국방부는 올해 2월 초에 발간한 ‘2022 국방백서’를 살펴보면 남북 군사력을 구체적 수치로 비교할 수 있다. 백서에 따르면 양측 군사력은 상비병력에서 크게 차이가 난다. 북한군 상비병력은 국군보다 2.56배 많다. 단순히 전력 규모만 보면 북한이 양적으로 우세한 것이다. 하지만 국군이 첨단 무기 도입을 지속해서 이어가는 점을 고려하면 질적 측면에서 남측이 훨씬 앞섰다는 평가가 많다.
북한군 상비병력은 128만여 명으로 2018·2020년 백서 대비 같은 규모다. 국군은 50만여 명으로 2년 전의 65만5000여 명에서 15만5000 명가량 감소했다. 군별로 남북의 육군은 각각 36만5000여 명과 110만여 명, 해군은 7만여 명(해병대 포함)과 6만여 명, 공군은 6만5000여 명과 11만여 명으로 나타났다. 북한군은 이외에 탄도미사일 등을 운용하는 전략군 1만여 명을 보유했다.
보유 전차는 남한이 2200여 대로 북한 4300여 대의 절반 수준이다. 야포는 남한 5600여 문, 북한 8800여 문이다. 다연장·방사포의 경우 남한 310여 문과 북한 5500여 문으로 차이가 컸다. 지대지 유도무기의 발사대는 남북이 각 60여 기와 100여 기를 운영하고 있다. 지상 무기 가운데 그나마 장갑차만 남한 3100여 대, 북한 2600여 대로 남한이 다소 많았다.
해군 전력은 모든 분야에서 북한의 숫자가 더 컸다. 전투함정(남 90여 척·북 420여 척), 상륙함정(남 10여 척·북 250여 척), 기뢰전함정(남 10여 척·북 20여 척), 지원함정(남 20여 척·북 40여 척), 잠수함정(남 10여 척·북 70여 척) 등으로 수적 열세를 보였다.
함정은 대부분 연안 작전용이고, 선체 연령이 수명 주기를 초과한 것이 상당수여서 계속적으로 도태하는 흐름이다. 최근에 신형 함정을 건조하는 등 전력을 보강하고 있고, 신형 대함미사일 장착을 통해 원거리 공격 능력을 강화하고 나섰다. 북한의 수상 전력은 1950년대 구소련이 설계한 로미오급(1800t급) 잠수함을 1973∼1995년 도입해 50년 가까이 운용 중이다.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탑재가 가능한 신형 잠수함은 아직 개발이 진행 중이다.
공중 전력은 양측이 다소 갈린다. 북한은 전투임무기(남 410여 대·북 810여 대)와 공중기동기(남 50여 대, 북 350여 대)에 앞선다. 남한은 감시통제기(남 70여 대·북 30여 대), 훈련기(남 190여 대·북 80여 대), 헬기(남 700여 대·북 290여 대)에서 수적으로 우세했다. 북한의 전투임무기는 남측의 약 2배로 압도적이지만, 노후화와 연료 부족에 따른 훈련 부실이 심각한 실정이다. 그러나 남한 공군은 5세대 F-35A 스텔스 전투기를 비롯해 F-15K, KF-16 전투기와 함께 E-737 항공통제기, KC-330 다목적 공중급유 수송기 등으로 무장해 북한이 인지조차 하기 전에 선제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제공권이 앞섰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여기에 국군은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을 적용하는 미래 지상군 ‘아미 타이거’(Army TIGER), 첨단 이지스 구축함 및 3000t급 잠수함 전력, F-35A 추가 도입 등 육해공 전력 증강을 지속하고 있어 질적 전력은 우위에 서 있다고 군사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남북한의 재래식 전력만 놓고 보면 정전 이후 70년이 흘러 역전됐다고 할 수 있다. 객관적 지표로 미국 군사력 평가기관인 ‘글로벌 파이어파워’(GFP)가 지난 6월 초에 발표한 ‘2023년 세계 군사력 지수’를 보면 확인이 가능하다. 한국은 세계 6위다. 세계 최강 미국(1위), 러시아(2위), 중국(3위), 인도(4위), 영국(5위) 등 사실상 핵보유국을 제외하면 남한은 세계 최고 수준의 군사 강국으로 꼽혀도 손색이 없는 군사력을 갖췄다. 주요 7개국(G7) 국가 중 독일(25위), 캐나다(27위)보다 상위를 차지할 정도다.
반면 북한은 경제난에 국방예산이 줄고 무리한 핵 개발에 치중하면서 재래식 군사력이 크게 약화됐다. 올해는 GFP 순위가 34위로 2020년 25위에서 9계단 떨어졌다. 순위는 각 나라가 보유한 군사 장비, 군대의 규모, 재정적 지위, 지정학적 이점 등 60개 항목을 평가해 매겨진다.
한국이 질적 우위를 보인다는 점은 북한도 인식하고 있다. 재래식 무기와 경제력 열세를 비대칭 전력인 핵무기와 미사일 전력 강화로 맞서려는 것도 이 같은 까닭이다. 핵 전략 확보에 제한이 있는 우리 입장에서도 핵 능력 등 북한 비대칭 전력의 지속적 강화는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백서에 따르면 북한은 플루토늄 보유량이 70여㎏으로, 2년 전 50㎏보다 20㎏ 늘어났다. 그만큼 더 많은 핵탄두를 만들 수 있게 됐다는 의미다. 따라서 화성-17형 등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필두로 SLBM 북극성-4ㅅ(시옷)형과 북극성-5ㅅ, 활공체형 및 원뿔형의 극초음속 미사일 등 새로운 핵 투발 수단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백서는 지적했다. 그러면서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를 통한 대북 억제가 매우 중요해졌다고 평가했다. 백서는 또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 연습 전개 등 전구급(戰區級) 작전개념이 반영된 연합연습 체계의 발전, 연합야외기동훈련 집중 시행 등 연합작전 수행 능력 항상 등을 꾸준히 추진해야 한다고 기술했다.
한반도선진화재단이 발간한 ‘종합국력:국가전략기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근거로 분석한 ‘한선 종합국력지수 측정 모형(한선모형)’을 적용하면 핵을 제외한 남북한 재래식 무기 군사력 비율은 100 대 97이다. 하지만 북한이 ‘기습공격 및 단기전’ 전략을 구사하면 남북한 군사력 지수는 1 대 1.6으로 역전된다. 한선모형은 핵무기는 실제 사용하기보다 위협용으로 활용한다는 가설을 적용했다. 군사전문가들이 북한이 비핵화에 나서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는 이유다.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올 추석 '6일 황금연휴'되나…10월2일 임시공휴일 추진
- 라면·김밥 먹을 때 꼭 '이것' 드세요…식약처의 추천 '꿀조합' 왜?
- 신상 '디올' 휘감은 '유퀴즈' 정유미 …가격이 무려 차 한대 값 '2500만 원'
- '달걀 알레르기 있는데' 독감백신 괜찮나요 [약 읽어주는 안경진 기자]
- 윤아도 맛있게 먹고 드라마마다 등장하던 '샌드위치 맛집' 매각 무슨일?
- '스트레스 받아서'…푸들 생매장 했던 견주-공범 집행유예 선고
- '영웅을 기억하는 나라, 대한민국'…그들은 제대로 '기억'되고 있을까
- 진중권, 3800만원 오염수 정부 홍보영상에 '대통령실이 日총리 관저 '용산 출장소' 같다'
- '아이로 유튜브 돈벌이' 비판에… '과학 영재' 백강현군 60대 父 입 열었다
- 투자 여력 40조…밸류업 '메기' 된 사모펀드[시그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