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정찰위성 발사 실패, 2단 분리는 성공... “10월 또 쏜다”
북한이 24일 ‘군사 정찰위성’이라 주장하는 발사체 1발을 발사했지만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 지난 5월 발사에 실패한 지 85일 만인데 일부 기술적 진전이 이뤄져 최종 성공은 시간문제라는 얘기가 나온다. 한·미·일은 이번 도발을 계기로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에서 합의한 군사협력·정보 공유 시스템을 처음 가동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이 오전 3시 50분쯤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북 주장 우주발사체’를 남쪽 방향으로 발사했다”며 “지속·추적 감시한 결과 실패로 평가한다”고 했다. 북한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 위성 운반 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제2차 발사를 단행했다”며 “1~2단계는 모두 정상 비행했으나 3단계 비행 중 비상폭발 체계에 오류가 발생해 실패했다. 원인을 빠른 기간 내에 해명해 오는 10월에 제3차 정찰위성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했다.
북한은 지난 5월 31일에도 ‘천리마-1형’ 로켓을 발사했지만 추진체 2단 분리 과정에서 엔진 고장 등으로 실패했다. 반면 이번에는 2단 분리가 성공해 복수의 발사체가 서해와 동중국해 일대에 낙하한 것으로 추정됐다. 마지막 위성 분리 전 비행종단시스템(FTS)에 오류가 생겨 폭발한 것으로 보이는데 곧바로 재발사 시기를 특정한 것을 놓고 ‘기술적 진보’에 대한 자신감이란 얘기가 나왔다. 장영근 한국국가전략연구원(KRINS) 미사일센터장은 “10월에 바로 3차 발사를 한다는 것은 로켓 작동과 단 분리에는 문제가 없고 비행 문제를 확신하기 때문에 바로 재발사가 가능하다는 판단이 작용했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북한이 한미 연합연습과 한·미·일 밀착을 의식해 맞대응을 지나치게 서두르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군은 “함정과 항공기를 투입해 우주발사체 잔해의 탐색·인양 작전에 돌입했다”고 했다. 북한의 위성 발사도 유엔 대북 제재 위반이다. 위성 발사 추진체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이 적용되기 때문에 유엔은 북한의 모든 추진체 발사를 금지하고 있다. 유엔은 이와 관련,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모든 발사는 관련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는 것”이라며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북한에 한반도의 지속 가능한 평화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비핵화를 향한 외교적 노력을 재개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국가안보실은 이날 오전 6시부터 조태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긴급 상임위원회를 열어 “안보리 결의를 상습 위반하는 북한에 대해 응분의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이라며 “북한 노동자 착취, 사이버 해킹 행위, 해상 밀수 등의 불법행위를 차단하기 위해 한·미·일 공조를 강화하며 이를 위해 국제사회와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했다”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NSC 결과를 보고받고 “북한의 발사체 분석 결과를 미국과 일본에 공유하고 추가 도발에 철저히 대비할 것”이라고 지시했다. 백악관도 NSC 대변인 명의 성명을 통해 “다수 유엔 결의에 대한 뻔뻔한 위반”이라며 “미국은 미 본토와 한일의 방위를 보장하기 위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했다. 한·미·일은 이날 외교장관·북핵수석대표 협의를 갖고 북한에 대한 독자 제재를 검토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북한이 이번 발사 실패에 이어 10월 재발사를 공언하고 향후 도발을 지속해 나갈 가능성이 높은 만큼, 북한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며 추가 도발 가능성에도 철저히 대비해 나가자”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