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동결 기조, 언제까지 이어질까
다섯차례 연속 금리 동결
성장률 전망치 1.4% 유지
中 침체 우려 반영했을까
美 통화정책 방향성 관건
지난 23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했다. 지난 2월과 4월, 5월, 7월에 이은 다섯번째 동결이다. 이날 함께 발표한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1.4%를 유지했다.
사실 시장은 한은의 금리동결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였다. 채권시장 전문가의 92.0%가 8월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다. 금리동결을 전망케 한 요인은 숱하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은 6월부터 두달 연속 2%대(전년 동월 대비)를 기록했다. 최근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기록한 가계부채도 기준금리를 묶는 이유로 작용했다.
한은이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앞으로도 유지할지는 의문이다. 대외적 환경이 우리나라 기준금리의 방향성을 어지럽게 만들고 있어서다. 중국발 경기침체 우려는 기준금리 동결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은 우리나라 수출의 20%가량(올 7월 기준)을 차지하는 최대 교역국이다. 중국 경제가 침체에 빠지면 우리나라가 기대하는 하반기 경기 반등은 어려워진다. 윤석열 정부의 정책과 달리, '중국이 기침을 하면 한국 경제는 감기에 걸린다'는 말은 아직 유효하다.
미국의 행보는 기준금리 인상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지난 7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5.00~5.25%→5.25~5.50%) 끌어올렸다. 그 결과, 한미 기준금리 격차는 역대 최고치인 2.0%포인트로 벌어졌다.
문제는 미 연준이 9월 19일(현지시간)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어떤 선택을 할지 확신할 수 없다는 점이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데이터에 따라 향후 통화정책을 결정하겠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 시장의 변화에 따라 금리 인상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올해 10월과 11월 두차례 금리결정을 남긴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은 9월과 10월, 12월 세차례 남았다는 것도 부담스러운 요인이다. 경우에 따라 올 연말 한미 금리차가 지금보다 더 커질 수 있다. 시장이 한은의 기준금리 동결 소식을 마냥 반길 수 없는 이유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