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美신용 하락 때보다 환율 상승세 더 거셀 수도 [홍태화의 경제 핫&딥]
수출 호조이던 2011년과는 달라
경제위기 땐 위안화 동조성 강화
위험회피 심리…원화에 더 악영향
기준금리 동결, 한미 금리역전 최대
원화 가치 지속적으로 빠질 수 있어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2011년 미국 신용등급 하락 때보다도 최근 환율 오름세가 더 거센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 금리 역전 폭이 역대 최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중국 경제가 휘청이면서 수출 등 우리나라 경제에 대한 불안도 커졌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 경제가 위기일 때 우리나라와 중국 동조성이 더 강해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 최대 수출 판로인 중국이 흔들리면 우리나라 경제 근간에 대한 불안감도 커진다. 외험회피 심리가 도처에 깔리는 가운데 원화 약세 현상이 두드러질 수 있다.
정부도 금리 문제와 중국 경제위기가 함께 찾아왔다는 점을 인지하고 상황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있다. 다만, 단기외채 비중이 낮은 수준을 기록하는 등 대외건전성이 탄탄하고, 달러 강세는 전세계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과도한 시장 불안을 우려할 필요는 없다는 입장이다.
24일 서울외국환 중개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은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미국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기 직전인 지난 1일 종가 기준 1283.8원을 나타냈다. 20일 뒤인 21일 환율은 1342.6원으로 올라 9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4.6% 급등한 것이다.
이는 2011년 스탠다드앤푸어스(S&P)가 미국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했을 당시보다도 빠른 속도다. 조정 발표 직전인 8월 5일 1067.4원을 나타내던 환율은 20일 뒤인 25일 환율은 1086.4원으로 1.8% 올랐다. 상승하긴 했지만 이번 하향조정 보다는 속도가 2.8%포인트 더디다.
미국 신용등급 하향조정은 위험회피 신호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시장에 대한 약세 요인이다. 그런데 이번엔 그 영향이 과거 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중국 경기 침체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2011년 미국 신용등급이 떨어졌을 때는 전세계적으로 유럽 재정위기가 불안요소였지만, 당시 우리나라는 오히려 수출이 호조세를 보이고 있었다. 매년 10% 가량, 중국이 무섭게 성장하면서 우리도 반사이익을 봤다. 위험회피 심리가 도처에 깔리기 시작했지만, 그나마 우리나라는 비교적 영향을 덜 받은 것이다.
반면, 최근엔 중국 경제가 위기를 맞으면서 우리나라 수출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중국은 우리나라가 가진 최대 판로다. 중국이 막히면 경제가 성장하지 못하는 구조인 셈이다. 때문에 시장에선 원화와 위안화를 비슷한 선상에 두고 본다. 동조성도 크게 나타난다. 한 정부 관계자는 “2011년과 지금 환율시장을 둘러싼 상황 차이 하나만 꼽으라면 결국 중국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 의견도 비슷하다. 신세돈 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도 “지금은 유럽보다 우리나라가 불안한 상태”라며 “수출도 안되고 금리차도 많이 벌어져 있어 오히려 여건이 2011년 때 보다 좋지 않다는 점에서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당장 차이나 리스크가 전염되는 경로는 금융시장이고, 그 다음 문제가 수출을 중심으로 한 실물경제가 될 것”이라며 “우리나라 금융시장은 중국과 동조성이 강한데, 중국 경제가 나쁠 때 이러한 경향이 크다”고 강조했다.
게다가 한국은행은 이날 기준금리를 다시 3.50%로 묶었다. 금리 인상 기조는 지난 2월 동결로 깨졌고, 3.5% 기준금리가 약 7개월째 유지되고 있다. 미국(5.25~5.50%)과의 기준금리 격차도 2.0%포인트까지 커졌다. 사상초유다. 미국이 추가적으로 금리를 인상하면 차이가 더 벌어질 수 있다.
정부는 이에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중국경제 상황반’을 설치하고 대응에 나섰다. 다만, 환율에 대해선 달러 강세가 전세계적으로 벌어지고 있어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아울러 금융기관 해외 차입 등이 줄면서 단기외채 비율은 다시 40% 밑으로 낮아졌고, 단기외채 비중 역시 199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는 등 대외건전성 지표가 개선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경제 핫&딥’은 경제 상황과 경제 정책 관련 현안을 보다 깊고 쉽게 설명하는 연재 기사입니다. 경제 상황 진단과 전망은 물론 정책에 담긴 의미와 긍정적·부정적 여파를 풀어서 씁니다. 부작용이 있다면 대안을 제시하고, 또 다양한 의견을 담겠습니다.
th5@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지현 아파트, 2년새 39억 올라…가장 비싼 아파트 1위
- 배우 김민호 "'20살 연상' 김혜선과 첫 키스·베드신…아버지가 질투"
- '마스크걸' 이아름, 알고보니 EXID 박정화…사원증 공개
- 이용식 딸 수민, 원혁과 내년 봄 결혼… 이용식"내년 4월은 넘겨야"
- 피프티피프티 ‘그것이 알고싶다’ 폐지 국회청원까지 등장…후폭풍 계속
- 강수지, 눈이 뻑뻑해 안과 갔더니…"노화로 비문증"
- 줄리엔강·제이제이, 화끈한 수영복 데이트…“진짜 핫하네요"
- 클라라, 몸매는 여전한데 달라진 비주얼…레드컬러 드레스 입고 매력 발산
- “이게 새 아파트? 죽어야 관심 줄거냐”…금 가고 곰팡이 득실득실 ‘이 사진’
- 배우 김지석 “중2때 英 여친에 첫 키스 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