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 입법화 보류…“재진 허용도 조건부하자” 강경의견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계도기간이 이달로 끝나는 가운데, 국회에서 이를 제도화하려는 의료법 개정안이 또 다시 보류됐다.
전면 허용한 재진 환자 범위를 축소하고, 비대면 진료 플랫폼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일부 강경 의견도 제시됐다.
상정된 의료법 개정안 6건은 비대면 진료 제도화와 민간 중개 플랫폼에 관한 내용을 담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계도기간이 이달로 끝나는 가운데, 국회에서 이를 제도화하려는 의료법 개정안이 또 다시 보류됐다. 전면 허용한 재진 환자 범위를 축소하고, 비대면 진료 플랫폼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일부 강경 의견도 제시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24일 법안심사소위원회를 개최하고 비대면 진료와 관련한 '의료법 일부개정안'을 논의했다. 상정된 의료법 개정안 6건은 비대면 진료 제도화와 민간 중개 플랫폼에 관한 내용을 담았다.
보건복지부는 현재 시행중인 시범사업안을 골자로 비대면 진료 법제화로 정식 제도화하자고 제안했으나, 복지위원들은 제도화 이후 부작용을 우려해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복지부는 △재진 환자 원칙 △섬·벽지 환자, 노인·장애인 등 거동 불편자, 재외국민·군인·교정시설 등 의료기관 방문 곤란자, 감염병 환자 등 예외 적용 △비대면 진료 플랫폼 신고제 △특수경우를 제외한 처방약 배송 금지 등을 골자로 한 의견서를 제출했다.
약사 출신 전혜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재진 환자 범위도 축소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시범사업에서 재진 환자는 같은 병원에서 30일 이내 동일 질환코드로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재진도 100% 열기 보다 비대면 진료 허용 사유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복지부가 제시한 비대면진료 플랫폼 규제 신고제에도 반대 의견이 있었다. 현재는 비대면진료 중개업을 하려는 플랫폼은 정부 수리를 요하는 신고 절차를 밟아야 한다. 서영석 민주당 의원은 플랫폼 신고제가 아닌 허가제 등 좀 더 강화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복지위원들은 PDF전자처방전을 위변조해 불법으로 의약품을 처방받는 문제를 방지할 대책, 공적처방전 시스템 마련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의료기관·약국 별 비대면진료·조제 허용 비율 30% 제한 장치 마련 등을 제시했다.
복지부는 이날 논의를 바탕으로 대책을 마련해 법안에 반영하기로 했다. 이로써 시범사업 계도기간 중 입법은 힘들게 됐다. 다음 소위 일정은 미정이다.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네이버 '생성형 AI ' 글로벌 빅테크와 겨룬다
- 구광모 “작은 씨앗도 노력하면 미래 거목”...북미 AI·바이오 현장 찾아 미래준비 속도
- 尹 “기업에 중요한 것은 시간”…킬러규제 혁파 '속도' 강조
- [KMEPS 패키징 포럼]“美, 지난해만 패키징에 3.3조 예산 투입…이미 속도전 시작”
- '2023 메디테크 어워즈' Best 6개 제품 선정
-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략]“문화·조직 혁신 동반돼야…전문가 지원도 필수”
-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략]투라인코드, “전환 대상 시스템 충분히 검토 후 결정해야”
-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략]오케스트로, “변화 많은 대국민 서비스 중심 우선 검토해야”
-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략]나무기술, “클라우드 네이티브 위한 PaaS 고려해야”
-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략]NHN클라우드, “적합한 시스템 선정해 단계적으로”